세계 최대 운송 네트워크 업체인 우버가 올해 1분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직격탄으로 순손실 3조5860억원을 기록했다.
7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과 CNBC에 따르면 우버의 1분기 손실이 눈덩이처럼 불어나 1분기에 매출액 35억4000만달러(약 4조3180억원), 순손실 29억4000만달러(약 3조5860억원)의 실적을 거뒀다고 전했다.
이날 발표에 따르면 작년 1분기와 견줘 볼 때 매출액(31억달러)은 14.2% 증가했지만, 순손실(10억9천만달러)이 무려 169.7%나 늘어났다. 이는 지난해 회사 상장 이후 실적을 발표한 세 분기 가운데 가장 큰 손실이다.
금융정보업체 팩트셋이 집계한 결과 매출은 월가 실적 전망치 평균인 35억3000만달러와 비슷했지만, 순손실은 13억8000만달러보다 더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1분기 순손실에는 코로나19 위기로 우버가 지분 투자한 회사들의 가치 하락을 반영한 손상차손 21억달러가 포함됐다.
우버 차량서비스에 대한 수요는 미국의 코로나19 확산이 겉잡을 수 없이 번지던 3월 중순부터 급격히 하락했다. 우버는 1분기 우버 승차 건수가 작년 동기보다는 7% 상승했지만 전 분기와 견줘서는 13% 하락했다고 밝혔다.
다만 우버의 음식 배달사업인 우버이츠는 코로나19 직격탄에 오히려 크게 성장했다. 자택 대피령과 봉쇄령으로 발이 묶인 사람들이 배달 서비스를 이용해 음식을 주문해 먹었기 때문이다.
우버이츠의 총 주문액은 1년 전보다 52% 증가, 전 분기보다 7%늘어난 46억8000만달러(약 5조6918억원)에 달했다.
다라 코스로샤히 우버 최고경영자(CEO)는 실적 발표 콘퍼런스콜에서 “4월에 운송 네트워크 사업이 1년 전보다 약 80% 하락했다”면서도 “최근 3주간 승차 건수가 계속 증가했다”고 밝혔다.
우버의 주가는 이날 시간 외 거래에서 하락하다가 승차 건수가 늘고 있다는 코스로샤히 CEO의 발언에 10% 상승했다.
한명오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