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설치 부지가 충북 청주로 최종 확정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다목적 방사광가속기를 구축할 부지로 충북 청주를 최종 선정했다고 8일 밝혔다. 정병선 과기정통부 1차관은 이날 세종시 세종파이낸스센터에서 브리핑을 열고 “방사광가속기 분야 전문가 15명으로 이뤄진 부지선정평가위원회(선정위)를 구성해 최종평가를 한 결과 충북 청주시가 90.54점으로 1위를 차지했다”면서 “청주는 지리적 여건과 발전가능성 분야에서 다른 지역에 비해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고 설명했다. 마지막까지 경쟁했던 전남 나주는 87.33점으로 3.21점 뒤졌다. 뒤이어 강원도 춘천(82.59점)과 경북 포항(76.72점)이 뒤를 이었다.
과기부는 지난 6일 우선협상대상 지자체로 전남 나주와 청북 청주 오창읍을 선정한 뒤 7일 두 지역에 대한 현장 평가를 진행했다. 선정위는 제공부지와 진입로 등 ‘기본요건’과 지질 및 지반 안정성, 확장가능성 등 ‘입지조건’, 행정적 지원방안 등 ‘지자체 지원’ 3가지로 평가를 진행했다. 현장 평가에서 충북도와 청주시는 편리한 교통과 접근성과 발전 가능성 등을 집중적으로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목적 방사광가속기는 전자가 빠른 속도로 지나게 해 고속의 빛인 방사광을 만들어내는 장비다. 태양빛의 100억배에 달하는 방사광(적외선, 자외선, X선) 등을 이용해 일반 현미경으로는 보기 어려운 찰나의 움직임 등을 볼 수 있는 초정밀 거대 현미경이다. 기초과학 연구를 포함해 반도체와 바이오 신약 개발 등 첨단 산업 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필수 시설이다.
방사광가속기 신규 구축 사업에는 국비 8000억원과 지방비 2000억원을 합해 1조원이 투입된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은 방사광가속기를 설치했을 때 해당 지역에 13만7000여개의 일자리와 함께 6조7000억원의 생산유발효과와 2조4000억원의 부가가치 유발효과가 날 것으로 분석했다.
과기정통부와 충북도, 청주시는 조만간 구체적인 지원 조건과 사업 추진 방향을 담은 양해각서 등을 마련해 업무협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정 차관은 “이달 중 예비타당성 조사를 신청할 예정”이라면서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구축은 미래 첨단산업 분야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정책이기 때문에 적극적인 지원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당국은 2022년에 방사광가속기 구축에 착수해 늦어도 2028년에는 본격적으로 가속기를 운영하겠다는 계획이다.
황윤태 기자 trul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