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권리당원 투표 결과에 따라 비례 정당인 더불어시민당과 합당을 추진키로 했다. 미래통합당의 비례 정당인 미래한국당은 통합당 원내대표 선출 이후 지도체제 논의 과정에서 합당 여부를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허윤정 민주당 대변인은 8일 국회 브리핑에서 “21대 총선 지역구 경선 선거권을 가진 권리당원의 투표를 통해 합당에 대한 의견을 물었다”며 “권리당원 투표자 가운데 84.1%가 찬성했다”고 밝혔다. 그는 “중앙위원회를 12일 개최할 예정이다. 중앙위를 통해 온라인으로 최종 투표가 완료되면 시민당과 합당하는 수임 기관을 지정하게 되고, 수임 기관 합동회의를 거쳐 합당 절차가 완료된다”고 설명했다.
민주당은 앞서 7~8일 시민당과의 합당 찬반을 묻는 권리당원 투표를 진행했다. 총선 전이었던 지난 3월에도 민주당은 비례연합 정당 출범에 대한 의견을 권리당원에게 물었다. 당시 비례연합 정당에 찬성한다는 의견은 71.4%였다.
미래한국당은 아직 통합당과의 합당 여부를 확정짓지 못했다. 이날 결정되는 통합당 원내대표 경선 이후 새 지도부가 들어서면 논의를 재개하겠다는 계획이다.
원유철 미래한국당 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민주당 이해찬 대표는 미래한국당이 통합당과 합당하지 않을 경우 특단의 대응을 하겠다고 엄포를 놓았다. 미래한국당은 통합당과 형제 정당이기 때문에 걱정 안 하셔도 우리가 할 일은 우리가 알아서 잘할 것”이라며 “민주당이 타당 문제까지 개입할 문제는 아니다”고 민주당에 날을 세웠다.
그러면서 “미래한국당은 꼼수 위성 정당으로 선거 개혁의 취지를 훼손한 게 아니라,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라는 악수에 대해 정당방위 차원에서 둔 묘수”라며 “민주당은 이제라도 결자해지 차원에서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라는 선거 악법을 폐지하는 데 앞장서줄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원 대표는 또 민주당과 시민당, 통합당 각 당 대표와 원내대표가 모이는 여야 회담을 제안했다. 그는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폐지를 위한 여야 회담을 제안한다”며 “민주당의 호응을 기다리겠다”고 했다.
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