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조건 없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북일정상회담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다시 한번 밝혔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과 함께 일본인 납북 문제를 반드시 풀어내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8일 산케이신문에 따르면 아베 총리는 북한의 일본인 납치 문제 해결과 관련한 질문에 “조건을 붙이지 않고 북한 김정은 조선노동당 위원장과 직접 마주한다는 결의는 지금도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세계적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대응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그 와중에도 이(납치문제 해결) 노력은 계속하고 있다”며 “다양한 루트(경로)로 찬스(기회)는 절대로 놓치지 않는다는 결의로 모든 방법을 강구할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아베 총리는 북미 정상 간 대화 무드가 조성된 지난해 5월 납치 문제 해결을 위해 김 위원장을 조건 없이 만나겠다는 뜻을 처음으로 밝힌 뒤 국회 연설 등 기회가 있을 때마다 이러한 입장을 되풀이하고 있다.
하지만 북한은 해결할 납치 문제가 없다며 일관되게 아베 총리의 제안을 무시하고 있다. 특히 북한은 지난해 6월 2일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 대변인 발언을 통해 “우리 국가에 대해 천하의 못된 짓은 다 하면서도 천연스럽게 ‘전제 조건 없는 수뇌회담 개최’를 운운하는 아베 패당의 낯가죽 두껍기가 곰 발바닥 같다”고 비난했다.
아베 총리는 산케이에 헌법 개정 논의가 진행돼야 한다는 뜻도 거듭 밝혔다. 그는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긴급사태 조항을 헌법에 넣는 방향의 개헌 논의를 해야 한다는 일각의 지적에 대해 헌법 개정에 반대하는 사람은 항상 ‘지금은 그럴 때가 아니다’고 말한다며 “이것(개헌)은 시기의 문제가 아니라 필요가 있는지의 문제”라고 주장했다.
아베 총리는 ‘전쟁과 무력행사를 영구히 포기한다’고 규정한 평화헌법에 자위대 근거 조항을 넣는 개헌을 추진해 왔지만, 숱한 반대해 직면해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긴급사태 선언을 법률이 아닌 헌법에 명기해 국가 위기 상황에 대비해야 한다는 논리로 개헌 분위기를 띄우려 한다.
박장군 기자 genera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