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정부 3년] 정권 재창출 올인하는 민주당

입력 2020-05-07 17:12

문재인정부가 오는 10일 출범 3년을 맞는다. 임기 후반기임에도 기록적인 총선 압승과 높은 국정 지지율로 국정 운영동력에 한층 탄력이 붙은 상태다. 문재인정부의 파워맨과 국정과제 현황, 향후 전망을 살펴본다.

문재인정부 출범 3주년이 된 현시점에서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2년 후를 내다보고 있다. 목표는 ‘정권 재창출’이다. 총선 압승으로 21대 국회에서 180석 가까운 의석을 확보한 더불어민주당은 정권 재창출을 위해서는 코로나19 대응과 더불어 국정 하반기 개혁 입법 처리가 가장 중요하다고 보고 있다.

7일 21대 국회 첫 원내대표로 선출된 김태년 신임 원내대표는 ‘당정청 원팀’ 기조로 개혁 입법 처리에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 민주당은 올해 하반기를 개혁의 적기로 보고 있다. 민주당은 문 대통령의 남은 임기 2년에 더해 다음 5년을 만들 기반인 ‘2+5 체제’를 만든다는 구상이다.


당내에선 이낙연 코로나19국난극복위원장이 가장 유력한 차기 주자로 꼽힌다. 이 위원장은 각종 차기 대권 주자 선호도 여론조사에서 2위와 큰 격차를 벌리며 안정적으로 1위를 유지 중이다. 당내 다른 차기 대권 후보로는 박원순 서울시장과 이재명 경기지사, 김부겸 의원 등이 꼽힌다. 박 시장이 최근 대거 교체한 정무라인 보좌진은 사실상 ‘미니 대선캠프’라는 이야기가 당 안팎에서 나온다.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항소심에서 당선무효형을 선고받은 이 지사는 조만간 이뤄질 대법원 판결이 대선 가도를 결정짓는 중요 기로가 될 전망이다.

친문(친문재인)이자 당권파로 꼽히는 김 원내대표가 당선되면서 민주당의 ‘친문 색채’는 한층 짙어졌지만, 차기 대권 주자 중에서는 뚜렷한 친문계 인물이 없다는 점도 눈여겨볼 지점이다. 대선이 다가올수록 당내 주류인 친문 세력은 본격적으로 분화할 것으로 보인다.


오는 8월 예정된 전당대회에서 어떤 당 대표가 탄생할 것인지도 다음 대선에 중요한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차기 당 대표는 대선 경선을 공정하게 관리할 막중한 임무를 맡게 된다. 또 강한 리더십을 바탕으로 개혁 입법을 완수하고, 야당의 공세에 맞서 여당 대권 후보를 지켜야 할 책임도 갖고 있다.

현재 이낙연 위원장의 당권 도전 여부가 초미의 관심사다. 이 위원장이 등판할 경우 어떤 후보보다도 당선 가능성이 크다고 보는 시각이 많다. 다만 이 위원장이 당 대표가 되면 당규의 당권·대권 분리 규정 때문에 6개월가량만 임기를 채우고 중도 사퇴를 해야 하는 점이 부담이다. 이 위원장은 적어도 6월까지는 당권 도전 여부를 고민할 것으로 보인다.

이 위원장 외에 예상되는 당권 주자로는 송영길·설훈 의원(5선)과 우원식 의원·홍영표 의원(4선), 그리고 원외 인사가 되는 김부겸 의원 등이 꼽힌다. 한 민주당 의원은 “정권 재창출을 위해서는 ‘관리형 당 대표’가 필요하다”며 “안정적으로 당을 관리하면서도 대권 후보를 뒷받침할 수 있는 대표를 뽑는 데 방점이 찍힐 것”이라고 말했다. 국회의장 자리를 두고는 민주당 최다선인 6선이 되는 박병석 의원과 5선이 되는 김진표 의원의 2파전이 펼쳐지고 있다.

신재희 기자 jsh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