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임자산운용 사태의 핵심인물로 꼽히는 김봉현 전 스타모빌리티 회장의 도피자금이 속속 드러나면서 피해 업체들의 소송전도 가시화될 전망이다.
7일 경기남부지방경찰청에 따르면 김 전 회장이 도피자금 등으로 사용하다 압수된 금액은 현재까지 60억여원이다. 경찰은 김 전 회장을 검거하면서 은신처인 빌라에서 현금 5억3000만원을 압수했고 김 전 회장이 사설물품보관소에 맡겨놓은 현금 55억원도 확보했다.
김 전 회장의 도피자금이 발견되면서 횡령 피해를 입은 업체들도 대응 방안을 검토 중이다. 수원여객 측은 김 전 회장의 수사가 마무리되는 대로 김 전 회장 측에 손해배상 청구 소송 등을 제기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김 전 회장은 수원여객에서 241억원을 빼돌린 후 80억원만 되돌려 놓은 혐의를 받고 있다.
김 전 회장은 사설보관소에서 발견된 55억원은 향군상조회 돈이라고 주장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재향군인회상조회 측도 향후 김 전 회장이 재판에 넘겨지면 해당 자금에 대해 법원에 형사 배상명령을 신청하는 방안 등을 검토 중이다. 배상명령이 인정되면 수사기관이 압수하고 있는 도피자금을 피해 회복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김 전 회장은 향군상조회에서는 380억원대 자산이 유출되는 과정에 관여한 의혹을 받는다.
다만 배상명령이 인정되려면 도피자금의 출처 등이 구체적으로 입증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김 전 회장은 자금을 수표로 인출했다가 현금으로 바꾸는 등 ‘돈세탁’을 했다. 자금의 구체적인 경로가 김 전 회장의 진술 등을 통해 밝혀지면 배상명령 등이 가능할 전망이다. 검찰은 김 전 회장이 사용한 도피자금이 수원여객, 향군상조회, 스타모빌리티 중 어느 회사에서 빠져나온 것인지 수사 중이다. 다른 횡령 자금의 최종 목적지도 수사 중이다. 김 전 회장이 받고 있는 횡령 혐의의 총 액수는 1000억원에 육박한다.
다만 라임자산운용 피해자들이 김 전 회장을 상대로 피해 회복을 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현재 라임 자금과 김 전 회장의 횡령이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은 그가 소유했던 스타모빌리티에서 발생한 횡령 사건이다. 스타모빌리티에는 라임 자금 595억원이 투입됐는데 김 전 회장은 회사에서 517억원을 횡령한 혐의를 받는다. 김 전 회장이 라임의 운영에 얼마나 개입했는지는 향후 서울남부지검에서 추가 수사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스타모빌리티 관계자는 “김 전 회장은 지난해 8월부터는 스타모빌리티 사무실에는 거의 오지 않고 라임 쪽에 가서 살다시피 했다”고 말했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