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크 안 쓰면 300만원? 대구시민 93%가 찬성했다”

입력 2020-05-07 10:09
연합뉴스

일부 시민의 뭇매를 맞고 있는 대구시의 ‘대중교통 등 공공시설 이용 시 마스크 착용 행정명령 발동’이 발표 전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압도적인 찬성률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민복기 대구시 의사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책본부장은 7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전문가 입장에서 어느 쪽이 맞다 틀리다 하기 굉장히 조심스럽다”면서도 “설문조사 결과 의무화된 행정명령 요구에 대해 93.3%가 찬성, 5.5%가 반대하는 걸로 나왔다”고 밝혔다.

이어 “2차 유행이 오지 않도록 방어하고, 경제를 살리는 데 있어 가장 쉬운 방법 중 하나가 마스크 쓰기”라며 “특히 대구는 다른 도시와 다르다. 미국 뉴욕이나 일본 도쿄와 같은 분위기였다고 생각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많은 분이 마스크를 계속 쓰고 있다. 하지만 ‘우리는 마스크 쓰기를 다 잘 지키는데 혹시 안 지키는 사람이 지하철을 타면 어떻게 될까?’하는 상황이 있다 보니 행정명령 발표를 한 것 같다”며 “저희가 봤을 때 행정명령이 발동될 만큼의 상황은 없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권영진 대구시장은 지난 5일 대시민 담화문을 통해 “대구는 전국적인 상황과는 달리 안심하고 생활방역으로 전환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일상으로의 성급한 복귀보다 더 철저한 방역에 무게 중심을 둘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이어 “모든 시민에게 마스크 쓰기 생활화를 권고하면서 교통수단과 공공시설 이용 시 마스크 쓰기 의무화를 행정명령으로 발동한다”며 “일주일간 홍보 및 계도 기간을 거쳐 고등학교 3학년의 등교 수업이 시작되는 오는 13일부터 강력 시행하겠다”고 강조했다.

만약 행정명령을 어길 경우 감염병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고발 조치하고 최대 300만원의 벌금형에 처하게 된다. 코로나19 사태에서 마스크 쓰기 관련 행정명령은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대구시가 처음이다.

그러나 일부 시민들 사이에서는 코로나19 방역정책을 생활방역으로 전환한 정부와 비교해 ‘뒷북 정책’이라는 지적이 나왔었다.

문지연 기자 jy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