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곽 드러난 한국판 뉴딜… “디지털 인프라 구축”

입력 2020-05-07 09:38
(서울=연합뉴스) 김승두 기자 =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7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경제중대본)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옆에는 박용만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참석해 있다.

‘한국판 뉴딜’ 정책의 윤곽이 드러났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7일 2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를 열고 한국판 뉴딜 추진 방향을 확정했다. 향후 2~3년 간 정부는 데이터·5G(5세대 이동통신)·AI(인공지능) 등 디지털 인프라 구축, 비대면 산업 집중 육성, 국가기반시설(SOC)의 디지털화 등을 추진한다.

홍 부총리는 회의 모두발언에서 “이번 코로나 위기는 전 세계적 동시 충격, 수요·공급 동시 위축, 비대면화·디지털화의 급격한 가속화 등 경제·사회구조 변화까지 동반하고 있다”며 "이를 기회로 살릴 한국판 뉴딜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판 뉴딜을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사회구조 변화에 대한 대응이라고 했다. 디지털화 가속과 비대면화 촉진 등에 중점을 둔 디지털 기반 일자리 창출, 경제혁신 가속화 프로젝트 등을 꼽았다.

구체적으로는 데이터 전(全)주기 인프라 강화, 데이터 수집·활용 확대, 5G(5세대 이동통신) 인프라 조기 구축, 5G+ 융복합 사업 촉진, 인공지능(AI) 데이터·인프라 확충, 전산업으로 AI 융합 확산, 비대면 서비스 확산 기반 조성, 클라우드 및 사이버 안전망 강화, 노후 SOC 디지털화, 디지털 물류 서비스 체계 구축 등 10대 중점과제 꼽았다.

정부는 이달 말까지 프로젝트별 세부사업을 마련할 방침이다. 다음달 초에는 한국판 뉴딜 세부 추진 방안이 확정된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