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선으로 21대 국회에 재입성한 권영세 당선인은 미래통합당을 ‘중도 실용 정당’으로 탈바꿈시키겠다는 의지가 강하다. 총선 참패 원인도 강경 일변도의 투쟁 방식으로 국민에게 피로감을 준 이유가 크다고 봤다. 친박(친박근혜)계로 분류됐던 그는 “계파에 치우치지 않고 성과를 내는 원내대표가 되겠다”고 자신했다.
권 당선인은 6일 국민일보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당의 체질을 근본적으로 바꿀 변화와 혁신의 동력을 만들어 내기 위해 원내대표 경선에 출마했다”고 밝혔다. 그는 “원내대표에 당선된다면 임기 중에는 통합당의 이념이 중도 실용으로 바뀌었다고 평가받게 하고 싶다”며 “그래야만 수도권과 중도층, 젊은 층 지지를 받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당 수습책에 대해서는 총선 출마자 의견을 모은 뒤 나온 결과에 따르겠다고 했다. 권 당선인은 “저의 기존 입장은 ‘김종인 비대위’ 체제이고, 러닝메이트인 조해진 정책위의장은 전당대회가 낫다는 입장인데 저희가 맘대로 할 문제가 아니다. 출마자들 전체 의견을 들어서 결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개인적 견해는 중요하지 않다”고 했다.
무소속 당선인들의 복당 문제는 “지금 당장 인위적 결합을 생각할 때는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미래한국당과의 합당을 두고는 “합당은 빨리해야 한다. 별개 교섭단체로 얻는 작은 이익에 매몰되는 것은 국민의 기대에 불응하는 것”이라며 이른 시일 내에 합당을 추진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대여 협상을 두고는 “장외투쟁은 최소한으로 줄이고 국회 내 투쟁을 원칙으로 삼겠다”며 “과거 당 사무총장, 대선 상황실장 경험을 바탕으로 성과를 내는 원내대표가 되겠다”고 했다.
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