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코로나19 대응 누가하나… 감염증연구소 재택근무 논란

입력 2020-05-06 12:02
일본 도쿄 공무원이 4일 거리를 순찰하면서 시민들에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속 집에 머물 것을 권고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해결에 앞장서야 하는 일본국립감염증연구소의 직원들이 재택근무에 동참해 논란이 일고 있다. 조직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채 다른 기관과 같은 방식으로 출근 인력을 줄였다는 비판이 나온다.

6일 도쿄신문에 따르면 일본 후생노동성은 정부지침을 근거로 직할 기관인 국립감염증연구소에도 출근자의 80%를 줄이라고 지시했다.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밀폐, 밀집, 밀접 등 이른바 ‘3밀(密)’ 환경을 피하라는 정부 지침에 따른 것이다.

후생노동성 담당자는 “코로나19 대응의 핵심 조직이어서 감염증연구소의 출근인원을 80% 줄이는 것에 대해선 고민했지만 아베 총리의 강한 지시가 있었기 때문에 어쩔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면서 “업무에는 지장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일선 직원들 사이에는 총력을 기울여 대응해야 하는 시기에 불충분한 인력 운용으로 괜찮은지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한 연구소 직원은 “예산도 인력도 줄었지만 가장 많은 힘을 쏟아붓지 않으면 안 되는 시기에 일률적으로 재택근무를 해도 괜찮은지 위기감을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

2020년 회계연도 예산으로 65억엔(약 745억원)을 배정받은 감염증연구소는 26개 부서에 연구자를 포함해 약 360명의 직원을 두고 있다. 코로나19 대책으로는 진단법, 치료법 연구, 백신 개발 등을 맡고 있다. 코로나19 감염 여부를 진단하는 PCR(유전자증폭) 검사 업무도 수행하면서 감염경로 등을 파악하는 역학 조사도 이끌고 있다.

코로나19 사태가 커진 이후로는 코로나19 대응과 정기 예방접종 등의 백신 검정업무 외에 사실상 다른 업무는 모두 중단한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후생성은 “코로나19 업무에 종사하는 감염증연구소 직원 수와 연구소 전체 출근율을 상세 수치로 공개할 수 없지만 긴급사태가 전국으로 확대된 지난달 중순 시점으로 출근자가 50%가량 줄었다”고만 밝혔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