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부터 청년들의 취업이 더 힘들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고용 충격이 2분기 이후 본격적으로 나타날 것이라고 6일 발표했다.
KDI는 ‘청년 고용의 현황 및 정책제언’ 보고서에서 코로나19로 인한 고용시장 부정적 영향이 단기에 그치진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요셉 연구위원은 “지난 2월 코로나19 위기 이후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한 청년 고용이 급격히 위축되고 있다”며 “3월 중순 전 세계로 감염이 확산된 데 따른 영향은 아직 반영되지 않았기에 2분기 이후 고용 충격이 본격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청년층 고용률은 2월과 3월 각각 1%포인트, 3%포인트 하락했다. 숙박·음식점업, 예술·스포츠·여가서비스업, 사업시설관리·지원·임대서비스업 등에서 고용률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교육서비스업에서도 큰 폭 하락했다. 한 연구위원은 “지금까지 코로나19로 대면 업종 서비스 소비가 감소됐다면 앞으로는 전 세계적 경기 침체로 비롯된 제조업 전산업 위축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 연구위원은 “해외 요인에 의해 주도된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와 유사한 충격을 받는다면 청년층 고용률은 1%포인트, 취업자 수는 10만명 감소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예로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9년 1분기와 2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2%포인트 이상의 고용 위축이 일어났음을 들었다.
그러면서 한 연구위원은 코로나19로 인한 부정적 영향이 청년층의 평생에 걸쳐 나타날 수도 있음을 경고했다. 첫 입직이 1년 늦을 경우 같은 연령 근로자에 비해 첫 입직 후 10년 동안 임금이 연 평균 4~8% 낮아진다는 선행연구 결과도 있다. 한 연구위원은 “외환위기나 글로벌 금융위기가 청년층에게 미친 부정적 영향이 평생 사라지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지적했다.
한 연구위원은 미취업 청년은 사회안전망에 배제되기 쉽다며 보완책을 제시했다. 그는 “신규채용이 활발하게 이뤄지도록 채용장려금 등을 확대해야 한다”며 “취업난이 예상되는 최근 졸업생에게 IT 등 향후 유망분야의 교육 훈련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