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여파로 잠정 중단됐던 한국전쟁 전사자 유해 발굴이 재개된다.
국방부는 6일 “오늘부터 11월 말까지 강원도 양구 등 전국 36개 지역에서 6·25 전사자 유해 발굴 사업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국방부는 당초 지난 3월 유해 발굴을 진행할 계획이었지만, 국내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잠정 중단했다.
국방부는 특히 올해가 한국전쟁 발발 70주년인 점을 감안해 유해 발굴 사업을 보다 내실 있게 추진할 계획이다. 우선 국가보훈처 등 10여개 관련 부처와 유해 발굴 사업 전반에 걸쳐 다양한 협업을 추진한다. 국방부는 “‘국가를 위해 헌신하신 마지막 한 분까지 찾아 모시는 것이 국가의 마땅한 책무’라는 문재인 대통령의 강한 의지도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올해 1만2500개의 유가족 유전자 시료를 확보하겠다는 목표도 세웠다. 10월까지 신원확인센터를 준공할 계획이다. 총 5만여개 유가족 DNA 시료가 확보됐지만 한국전쟁 당시 미수습된 13만5000여명의 전사·실종자를 고려하면 아직 부족한 상황이라는 것이 국방부의 설명이다.
‘자율이동형 지하탐지 로봇’을 통한 유해 발굴도 계획 중이다. 스스로 이동하며 유해나 유품을 찾는 로봇을 개발해 유해 발굴 현장에 투입하겠다는 것이다. 이밖에 국방부는 전사자 유해 신원확인 포상금 관련 법령을 개정해 유가족 참여를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