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자국서 개발된 '아비간'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치료제로 밀어붙이고 있다. 코로나19 치료 효과에 명확한 근거가 없는 데다 기형아를 낳을 수 있다는 부작용이 있다는 전문가들의 판단에도 아랑곳 않고 있다.
이에 미국 일간 뉴욕타임즈(NYT)는 아베 총리가 아비간을 권장하는 이유를 분석해 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아비간은 일본 후지(富士)필름의 자회사 도야마(富山)화학이 신종인플루엔자 치료제로 개발한 항(抗)바이러스제다. NYT는 ”아베 총리가 고모리 시게타카(古森重隆) 후지필름 회장과 자주 골프를 치고 식사를 하는 등 가까운 사이”라고 의혹을 제기했다.
아베 총리 자신도 아비간의 부작용을 알고 있다. 그는 지난 4일 기자회견에서 “아비간이 '탈리도마이드'와 같은 부작용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탈리도마이드는 1950∼1960년대 기형아 출산 부작용으로 판매가 금지된 약물이다.
그런데도 아베 총리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등 주요 7개국(G7) 정상들이 참석한 회의에서 코로나19 치료제로 아비간 사용을 권장했다. 아비간 재고를 3배로 늘리기 위해 1600억원 가까운 예산을 배정했다. 일부 국가에는 아비간을 무료로 제공하겠다고도 했다.
이에 일본에서는 1100개 병원에서 코로나19 환자 2200여명에게 아비간을 처방했다. 1000명 이상이 아비간을 투약하기 위한 대기 명단에 이름을 올려놨다. 이들 병원은 기형아 출산이라는 부작용이 문제가 되지 않을 고령층에 아비간을 투약해 얻음으로서 잠재적 이득이 위험성보다 크다고 주장했다.
다만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은 “아비간과 관련해 아베 총리와 고모리 회장과의 관계는 전혀 연관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후지필름 측 대변인도 “정부 측의 어떤 호의도 없었다”고 진화에 나섰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