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차 등 신산업 개발에 필요한 공공데이터 공개량이 올해 2배로 뛴다.
행정안전부는 지난해 2만1000건에 그쳤던 데이터 개방량을 올해 4만9000건으로 늘린다고 6일 밝혔다.
신산업과 일상생활에 밀접한 분야의 데이터 위주로 우선 공개한다. 민간산업 성장을 지원하고, 디지털 일자리를 창출할 방침이다.
아울러 공공데이터 생산·활용에 민간을 참여시켜 실용적인 공공데이터를 구축할 계획이다. 기존처럼 가진 데이터를 단순 공개하는 데 머무르지 않겠다는 뜻이다. 기존 데이터를 융합하거나, 새 데이터를 생성해 신기술에 필요한 데이터, 민간이 원하는 데이터를 생성한다.
방대한 공공데이터를 연계·공유할 수 있는 ‘메타 데이터’를 만들어 데이터 분석·관리 능력을 끌어올린다. 또 데이터 3법 시행을 위해 공공데이터의 가명화 절차와 방법을 담은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공공부문 개인정보 가명화 지원센터를 운영한다. 공공부문 내 안전한 공간(안심구역)을 마련해 개방이 제한된 데이터를 활용한 민·관 연구와 사업 모델개발도 함께 지원한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정부서울청사에서 제4기 공공데이터전략위원회 민간위원 위촉식을 열고 이같은 공공데이터 이용 활성화 전략을 논의했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
‘자율주행차 재료’ 공공데이터 개방량 2배로 껑충
입력 2020-05-06 1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