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 국무총리는 6일 “생활 속 거리두기가 정착돼 튼튼한 방역이 뒷받침돼야만 등교 수업도, 경제 활성화도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생활 속 거리두기 시행에 따른 코로나19 재확산을 경계한 발언이다.
정 총리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철저한 방역 하에 일상을 회복하기 위한 움직임이 시작됐다”며 “새롭게 만들어 갈 일상에 대한 기대감과 함께 혹시 모를 위험에 대한 긴장감이 교차하는 날”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생활 속 거리두기는 우리 사회가 제한적 범위에서나마 일상을 유지하기 위해 반드시 실천해야 하는 최소한의 조치”라고 밝혔다.
앞서 정부는 국내 코로나19 상황이 진정 국면으로 접어듦에 따라 지난 3월부터 시행해온 ‘사회적 거리 두기’를 생활 속 거리두기로 전환해 이날부터 시행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코로나19 감염 우려로 운영을 중단했던 박물관과 미술관, 도서관 등이 제한적으로 다시 문을 연다.
정 총리는 “생활 속 거리두기 지침을 발표했지만 실생활 속에서 지켜지지 않는다면 아무런 소용이 없다”며 “국민 여러분들은 생활 속 거리두기가 습관이 되고 문화로 정착될 수 있도록 일상생활 속에서 지침을 지키는 노력을 기울여 주시기 바란다”고 요청했다.
또 코로나19 재유행 가능성도 경고하며 방역 역량을 강화할 것을 주문했다. 정 총리는 “많은 전문가들이 코로나19의 재유행 가능성을 경고하고 있다”며 “다른 나라보다 먼저 안정세에 들어간 우리로서는 지금이 미래 위험에 대비해 방역 역량을 강화하고 대응 체계를 정비할 수 있는 적기”라고 말했다. 이어 “인구 밀집도가 높고 지역 간 이동이 많은 우리나라의 상황을 감안하면 인접 지자체가 행정적 경계를 넘어 의료자원과 역량을 공동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며 “대구의 신천지와 같은 상황이 다시 닥쳤을 때 의료 공백 없이 신속히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