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발’ 부동산 위축 하반기에 더 심해질 수도

입력 2020-05-06 11:00

국내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진정세로 접어들고 있지만, 아파트 거래량은 늘어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전문가들은 하반기에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경기 침체와 정부 부동산 규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부동산 시장 거래가 더 위축될 것으로 봤다.

5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거래 신고 건수(계약일 기준)는 1459건이었다. 4409건이었던 3월에 비하면 3000건 가까이 적다. 3월 거래량도 8288건에 달했던 2월에 비교해 크게 줄었다. 코로나19가 본격적으로 맹위를 떨친 2월 이후에는 매수자와 매도자 간 매물 보여주는 일 자체가 어려워지며 거래가 급격히 줄었다.

특히 풍선효과가 극심했던 ‘수용성(수원·용인·성남)’을 비롯해 지난 2월 조정대상지역에 편입된 의왕·안양시의 거래량은 3월에 3분의 1 수준으로 급감했다. 코로나와 함께 조정대상지역 지정에 따른 대출·세제 등 규제가 강화된 영향이었다.

이처럼 풍선효과가 끝난 지역에서는 아파트 거래량이 줄면서 가끔 시장에 나오는 급매물 위주로 매매가격이 내려가고 있다. 5월 들어 강남을 중심으로 급매물이 나오는 대로 소화되며 호가도 상승 반전했지만 추가 매물이 이어지지는 않는 모양새다.

하반기에는 경기 침체로 인한 거래량 축소가 오히려 본격화할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대학원 교수는 “일반적으로 호황과 불황이 부동산 시장에 반영되는데 6개월에서 1년이 걸린다”며 “코로나19로 인한 경기 침체가 연말부터 본격적으로 가시화한다면 부동산 시장도 위축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세계적으로 대유행하고 있는 코로나19 사태가 언제 끝날지 알 수 없다는 것도 문제로 지적된다. 손재영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결국 부동산 시장을 가늠하려면 한국 경제 회복 속도가 어느 정도일지를 예측해야 한다”며 “수출이 중요한 한국의 형편을 생각했을 때 세계적으로는 한국보다 코로나19 사태가 늦게 시작되고 회복도 늦은 나라들이 많아, 부동산 시장도 좋지 못할 것이다”고 말했다.

정부 부동산 규제 강화도 변수다. 지난달 중순 총선에서 승리한 여당이 부동산 규제 강화를 밀고 나갈 가능성이 크다. 권 교수는 “종합부동산세 인상안 연내 처리가 사실상 무산됐지만, 총선에서 부동산 정책에 대한 확신을 얻은 정부가 내년에도 더 적극적으로 부동산 규제를 강화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정부는 지난해 12월 이후 12·16부동산 정책과 2·20부동산 정책을 잇달아 내놓자 다주택자와 고가 주택자들은 친족 증여로 규제를 우회하는 경향이 커졌다. 손 교수는 “정부가 부동산 정책을 얼마나 더 강화할지는 아무도 알 수 없지만, 세금이 강화하면 인센티브가 줄어드는 셈이니 시장도 거기에 맞춰서 움직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택현 기자 alle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