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당국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치료제로 떠오른 ‘렘데시비르’와 관련해 아직까지는 초기 전파를 낮추는 방역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고 밝혔다.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부본부장은 5일 정례브리핑에서 “렘데시비르의 경우 중증환자로 사용이 한정돼 있고, 입원 기간을 줄이거나 치명률을 낮추는데 기대하고 있다”면서도 “현재까지는 신종플루 유행 당시 ‘타미플루’처럼 초기 모든 환자에게 투약 가능해 전파력을 낮추는 등 방역대책을 진행하는 데 있어서의 의미는 가지지 못한다”고 말했다.
권 부본부장은 “미국의 국립보건원(NIH)의 치료가이드라인에서 아직은 항바이러스제 중 유효하다고 권고하는 약제는 사실상 없다”며 “현재까지의 임상시험을 토대로 (렘데시비르) 긴급사용 승인이 나 있는 상황이고, 국내에서도 그러한 임상시험에 일부 전문가들이 참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에볼레 치료제로 개발된 렘데시비르는 코로나19 증상 개선에 도움이 된다는 임상시험 결과가 나오면서 최근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긴급 승인을 받았다.
지난 4일 오전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관련 지원단 산하 실무추진단 치료제분과위원회는 렘데시비르 관련 현황을 다뤘고, 같은 날 오후 식품의약품안전처 주관 전문가회의가 열렸다.
앞서 방역당국은 렘데시비르 임상시험 결과에 따라 보건당국 승인 없이 해외 보건당국이 긴급 승인한 의약품 수입을 허가하는 특례 수입을 신속하게 진행하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권 부본부장은 “중앙임상위원회 등 전문가 집단의 영역이기 때문에 곧 판단을 구할 예정”이라며 “(렘데시비르) 유효성과 관련해 곧 국내에서도 임상시험 결과가 나올 것이고, 전문가들과의 논의를 통해 필요할 경우 (치료제 승인) 관련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