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오프라인 개학을 반대하는 청원이 빗발치고 있다. 교육부가 오는 13일부터 단계적으로 등교 수업을 실시한다고 발표하자 불안감이 커진 것이다.
교육부 발표 직후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개학 반대 청원’이 잇따라 올라왔다. 5일 낮 12시 기준으로 개학 반대 게시물은 모두 7개다. 모두 합치면 15만6000명이 넘는 청원을 받았다. 교육부 발표 이전에 게시된 청원까지 합치면 오프라인 개학을 반대 게시물은 10개가 넘는다.
한 청원인은 고교 3학년의 개학 시기가 너무 이르다며 “황금연휴가 끝나는 5월 5일 이후로 최소 잠복기인 13일은 지켜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고3 학생들은 실험대상이 아니다. 고3 학생들의 등교 개학도 최소 5월 19일 이후로 미루어 달라”고 했다.
다른 청원인 역시 개학 시기를 지적하며 “며칠 전까지 사회적 거리두기를 하라더니 이제는 개학을 한다고 한다”며 “공부는 언제든지 할 수 있지만 코로나에 따른 상처는 절대 씻을 수 없다”고 꼬집었다. 또 “개학을 하더라도 코로나19 감염 공포로 공부가 잘 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학생들이 온라인 개학과 오프라인 개학을 선택하게 해 달라는 청원도 등장했다. ‘등교 선택권을 보장해 주세요. 자녀의 생명과 건강을 지킬 부모의 권리를 보장해 주세요’라는 제목의 청원에서 청원인은 “등교를 원하는 학부모들은 자녀를 등교시키고 등교를 원치 않는 학부모들은 자녀를 집에서 돌보게 해 달라”고 말했다.
이 청원인은 “이게 두 집단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동시에 교실 밀집도를 줄여 보다 안전한 등교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도 가져올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안전이 보장되지 않는 상황에서 등교 개학이 결정됐다. 자녀의 생명과 건강을 담보삼아 등교시키기를 원치 않는 부모들의 자녀까지 강제로 등교하는 일이 없도록 유연한 정책을 제공해 주시기를 간곡히 부탁드린다”고 썼다.
이홍근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