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관련 긴급사태 선언 연장으로 23조1000억엔(약 265조원)에 달하는 경제손실이 발생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5일 일본 요리우리신문에 따르면 다이이치세이메이 경제연구소의 구마노 히데오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전국 긴급사태 선언 시한이 이달 6일에서 31일로 연장됨에 따라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23조1000억엔 감소할 것”으로 추산했다.
지난달 7일 도쿄도 등 7개 도부현에 처음 긴급사태가 선언된 이후 이달 6일까지 GDP 감소 추산액 21조9000억엔을 더하면 긴급사태로 인한 GDP 감소액은 45조엔(516조원)에 달한다고 구마노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추정했다. 이는 일본의 연간 실질 GDP의 8.4%에 해당한다.
구마노 수석이코노미스트는 “경제 악영향은 5월 6일까지의 1개월과 그 후 1개월이 크게 다르다”며 “인건비, 임대료 등 고정비 부담은 자숙 기간이 길어질수록 경영 존속을 위협한다”고 지적했다.
긴급사태 선언의 지속으로 일본의 올해 2분기(4~6월) GDP 성장률이 마이너스 30% 이상을 기록할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됐다.
BNP파리바증권의 고노 류타로 수석이코노미스트는 “4~6월 일본의 GDP 성장률은 마이너스 33%로, 2009년 1~3월 글로벌 금융위기 때 기록한 마이너스 17.8%를 크게 상회하는 충격이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