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은혜 “13일 고3 먼저 등교… 다음달 초까지 순차 등교”

입력 2020-05-04 16:03 수정 2020-05-04 16:30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오는 13일부터 다음달 초까지 일주일씩 간격을 두고 단계별 등교수업을 시작한다고 4일 밝혔다.

우선 고등학교 3학년과 재학생 60명 이하의 소규모 초·중학교가 13일에 가장 먼저 등교한다. 20일에는 고2, 중3, 초1·2학년과 유치원이, 27일에는 고1, 중2, 초3 ·4학년이 등교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다음달 1일에는 중1, 초5 ·6학년이 등교수업을 시작한다.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이같이 밝히며 “교사와 학부모 의견조사, 시도 교육감 회의, 관계부처 협의 등을 거쳐서 오늘 중대본 논의를 통해 최종안을 확정했다”고 전했다.

유 부총리는 “교육부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종식 이후로 등교시기를 무한정 미루기보다는 감염병 추이를 면밀하게 살피면서 시차를 두고 단계적으로 등교하는 방식을 4월 중순부터 진지하게 검토해 왔다”고 말했다.

이어 “방역당국과의 협의 결과, 대다수 학생의 등교수업은 5월 연휴기간 후에 최소 14일이 경과되어야 하며, 고등학교 3학년은 진로와 진학준비 등 현실적인 여건을 고려해서 5월 연휴기간 후 7일이 경과한 시점부터 등교수업이 가능하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첫번째 등교 학년은 진로와 진학에 부담이 큰 고등학교 3학년과 생활 속 거리두기의 실천이 충분히 가능한 지역 소재 소규모 초·중학교로 정해졌다.

두번째로 등교하는 유치원과 초등학교 1·2학년은 학생 발달 단계상 원격수업보다는 대면수업이 효과적이고, 초등긴급돌봄 참여자 대다수가 이미 초등 저학년 학생들인 점을 고려했다.

특수학교는 단계별 등교수업 일정을 준용하되, 시도 및 학교 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등교수업 일정과 방법을 교육청이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각 시도 교육청과 학교는 지역별 감염증의 추이 및 학교별 밀집도 등을 다양하게 고려하여 학년과 학급별 시차 등교, 원격수업과 등교수업의 병행 운영 등 구체적인 학사운영 방법을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유 부총리는 “교육부는 감염증의 상황을 예의주시할 것이며, 질병관리본부 등 방역당국과의 긴밀한 협의를 통해서 조금이라도 등교수업이 어려울 경우 신속하게 판단 ·조치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학교급식의 경우에는 학년별, 학급별 시차를 두어서 배식시간을 분산시키고 식당 좌석 배치조정과 임시 칸막이를 설치하는 등 학생 간에 일정거리를 확보할 것”이라며 “필요시에는 개인 도시락 지참 또는 간편식을 제공하는 등 학교의 여건에 따라서 가장 안전한 방법으로 운영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