낡은 옛 충남도청이 창업 산실로…‘대전창업허브’ 오픈

입력 2020-05-04 11:26
대전 중구 옛 충남도청사에 조성된 '대전창업허브'. 대전시 제공

대전 원도심 발전의 핵심 축인 옛 충남도청사가 창업의 산실로 새롭게 태어났다.

대전시는 옛 충남도청사 신관동을 개조해 ‘대전창업허브’를 조성하고 이달부터 운영한다고 4일 밝혔다.

총 6104㎡ 규모인 대전창업허브는 스타트업의 발굴 및 육성, 시제품 제작, 투자까지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기술기반 창업지원 플랫폼이다. 국비 30억원, 시비 67억원 등 총 사업비 97억 원이 투입됐다.

1~2층에는 아이디어를 직접 구현해 보는 제작 공간이 들어섰으며 3층은 아이디어를 공유하며 의견을 나누는 협업 공간이 조성됐다. 4층에는 기업 연구 공간 15실, 운영기관 사무실 등으로 구성됐다.

시는 이달 업무를 개시하고 다음달 정식 개관식을 진행할 예정이다.

대전창업허브는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가 운영한다. 민간 투자기관과 기술보증기금, 수자원공사, SK사회적가치연구원 등과 함께 스타트업을 발굴·육성하고 시장진출 및 투자유치 등을 지원하게 된다.

시는 민간 액셀러레이터와의 협업 아래 소셜벤처 스타트업 집중 양성 프로그램, 1대1 멘토링, 소셜벤처 창업가·전문가 네트워크 구성, 임팩트 투자 및 금융지원을 위한 ‘데모 데이’, 글로벌 진출을 위한 기업활동(IR) 준비과정 지원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대전창업허브는 특히 중부권에서는 최초로 ‘메이커 스페이스(전문랩)’도 구축됐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주관으로 운영되는 메이커 스페이스는 중소벤처기업부 공모사업에 최종 선정되며 국비 19억원을 확보했다.

이에 따라 ETRI의 노하우를 비롯해 고경력 연구원·기술주치의·은퇴과학자 등 분야별 기술지원 전문 인력을 활용할 수 있게 됐다. 수요자들은 멘토링과 컨설팅, 시제품 제작 지원 등 실무 위주의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시는 대전창업허브 구축과 함께 선화동 ‘디스테이션(Post-Business Incubator)’에 성장단계 기업을 입주시키고, 2023년까지 대흥동에 일자리 연계형 창업지원주택을 150호 규모로 건립할 예정이다.

또 원도심인 중앙로 일대에 민간 창업지원기관을 유치하는 한편, 기업·주거공간 등을 확충해 ‘창업~성장(Post-BI)~스타기업’으로 육성하는 창업 특화단지로 발전시킨다는 방침이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대전창업허브를 중심으로 대흥동·선화동 등 중앙로 일대를 소셜벤처 등 스타트업 특화보육단지로 발전시킬 계획”이라며 “원도심 지역경제 활성화와 도시재생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