래리 호건 미국 메릴랜드 주지사가 한국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진단키트 공수 당시 주방위군과 주경찰을 동원했던 것은 ‘연방정부의 가로채기’를 우려해서였다고 밝혔다.
호건 주지사는 3일(현지시간) CNN방송과 인터뷰에서 아직까지도 주방위군, 주경찰을 동원해 한국산 진단키트를 비밀장소에서 보관하는 것과 관련 “그럴 필요가 있느냐”는 질문을 받고 “지금은 필요한지 잘 모르겠다”고 답했다.
그는 “문제가 됐던 건 한국에서 공수해올 때였다”면서 “몇몇 주지사 동료들에게서 연방정부가 화물을 가로채거나 빼돌린다는 얘기가 있었기 때문에 아주 조심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게 확실히 하고 싶었다”며 “그래서 주방위군과 경찰을 배치했고, 한국 항공기가 통상 착륙하는 공항 대신 다른 공항에 착륙시킨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지금은 연방정부와 협력하고 있다. 이제는 걱정거리가 아니지만 솔직히 공수해올 때는 문제가 됐다”고 말했다.
메릴랜드주는 지난달 18일 한국에서 코로나19 검사 50만회가 가능한 분량의 진단키트를 공수해왔다. 한국 유전자 검사 전문업체인 랩지노믹스 제품이며, 대한항공 여객기에 실려 통상 착륙하는 버지니아주의 델레스 공항이 아닌 볼티모어-워싱턴 국제공항에 도착했다. 호건 주지사와 부인 유미 호건 여사가 직접 공항에 나가 여객기를 맞았다.
진단키트는 현재 비밀 장소에 보관돼 있다. 호건 주지사는 지난달 30일 미국 워싱턴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주방위군과 경찰이 지키는 가운데 비밀 장소에서 보관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공수 과정에는 한국계인 호건 여사의 역할이 컸던 것으로 전해졌다. 호건 주지사는 지난달 20일 브리핑에서 고개를 숙여 한국말로 “감사합니다”라고 말한 뒤 자신의 아내를 “이번 작전의 챔피언”이라고 치켜세웠다.
박은주 기자 wn1247@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