폼페이오 “중국 우한연구소서 코로나 시작 ‘거대한 증거’있다”

입력 2020-05-04 07:41 수정 2020-05-04 07:48
우한 바이러스연구소, 코로나19 진원지로 ‘지목’
막연한 흠집내기 아니라 미국 ‘증거 확보’ 강조
폼페이오 “중국, WHO 은폐 도구로 활용”
미국, 손해배상 소송 등 강력한 보복조치 검토
미국, 보복조치 꺼낼 경우 미·중 ‘정면충돌’ 우려

미국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이 시작됐다고 주장하는 중국 우한의 바이러스연구소의 내부 모습. 이 사진은 2015년 1월 31일 촬영됐다. 이 시점은 이 연구소가 완공된 직후였다. 이 연구소는 2015년 중국 최초로 ‘BSL-4’로 알려진 세계 최고 수준의 생물학연구 안정성 인증을 획득하기도 했다. 신화사·뉴시스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부 장관은 3일(현지시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가 중국의 우한 바이러스연구소에서 시작됐다는 “거대한 증거(enormous evidence)가 있다”고 주장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또 중국이 세계보건기구(WHO)를 은폐의 도구로 활용했다고 비판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 이어 폼페이오 장관까지 코로나19가 최초로 발생한 중국 우한의 바이러스연구소를 진원지로 지목한 것이다. 코로나19 대처에 대한 미국 내 비판여론을 의식한 트럼프 행정부가 대대적으로 ‘중국 때리기’에 나설 것임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폼페이오 장관은 ABC방송 ‘디스 위크’와의 인터뷰에서 “그곳(우한 바이러스연구소)에서 이것(코로나19)이 시작됐다는 거대한 증거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우한의 (바이러스)연구소에서 이것(코로나19)이 나왔다는 ‘상당한 양의 증거’(significant amount of evidence)가 있다”고 반복했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부 장관. AP뉴시스

폼페이오 장관은 우한 바이러스연구소가 코로나19 진원지라는 사실을 강조하기 위해 ‘거대한 증거’, ‘상당한 양의 증거’라는 표현을 번갈아 사용했다. 중국을 겨냥한 막연한 흠집내기가 아니라 미국은 분명한 증거를 많이 확보했다는 점을 부각시킨 것이다.

폼페이오 장관은 또 “중국이 세계를 감염시킨 전력이 있고, 그들은 수준 이하의 연구소를 운영했던 전력이 있다는 점을 기억하라”면서 “중국 연구소의 실패 결과로 전 세계가 바이러스에 노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폼페이오 장관은 중국이 사실을 은폐하고 있으며 허위정보를 양산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중국은 권위주의 정권처럼 행동하고 있다”면서 “그들은 감추고, 숨기고 혼동하게 만든다”고 주장했다. 또 “중국은 WHO도 같은 일을 하는 도구로 활용했다”고 비판했다.

특히 폼페이오 장관은 중국이 미국과 WHO가 중국을 방문해 중국 내의 연구소에 대한 현지 조사를 막는 점을 문제 삼았다. 그는 “아무도 그 (우한 바이러스)연구소나 다른 연구소들을 가는 것이 허용되지 않았다”면서 “이 위험은 여전히 남아있고, 우리는 여전히 그 곳(연구소)을 가야만 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폼페이오 장관은 중국이 의도적으로 바이러스를 퍼뜨렸다고 생각하는지, 아니면 우발적 사고였는지를 묻는 질문에 “나는 그에 대해 말할 것이 없다”면서 “나는 알아야 할 것들이 많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이런 의문들을 풀기 위해서라도 중국 연구소들에 대한 현지 조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또 코로나19가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것도 아니며, 유전자적 변형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는 미 국가정보국(DNI)의 분석에 대해선 “의심할 이유가 없다”면서 동의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폼페이오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은 매우 분명하다”면서 “우리는 그들(중국)의 책임을 물을 것이며 우리의 시간표대로 그렇게 할 것”이라고 중국에 경고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30일 ‘코로나19가 우한 바이러스연구소에서 나왔다는 증거가 있는가’라는 기자들의 질문에 “나는 (증거를) 봤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대중국 관세 부과 카드를 검토 중이다.

손해배상 청구 소송도 거론된다. 워싱턴포스트는 미국 정부나 피해자가 중국을 상대로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할 수 있도록 ‘주권 국가는 다른 나라 법정의 피고(피고인)가 될 수 없다’는 국제법상 ‘주권 면제’ 대상에서 코로나19 피해를 제외하는 방안을 행정부가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중국에 대한 손해배상 소송의 길을 트겠다는 의도다.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에 대한 보복 조치를 실제로 꺼내들 경우 미·중이 정면충돌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워싱턴=하윤해 특파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