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 선출 여야 원내사령탑…3차추경·원구성 격돌 불가피

입력 2020-05-03 17:22

더불어민주당과 미래통합당의 새 원내사령탑이 이번 주 모습을 드러내면서 여야 협상의 새 판이 짜이게 될 전망이다. 민주당은 7일, 통합당은 8일 각각 새 원내대표를 선출한다.

양당의 새 원내대표들은 임기를 시작하자마자 원 구성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관련 3차 추가경정예산안, 20대 국회 마지막 본회의 개최 여부를 놓고 격돌할 것으로 보인다.

일단 이들은 21대 국회 전반기 원구성 협상이라는 막중한 임무를 맡고 있다. 현재 18개 상임위 중 8개 상임위원장을 맡고 있는 민주당은 의석수가 180석으로 대폭 늘면서 이번에는 10~11개 상임위원장을 확보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관심을 끄는 부분은 법사위원장과 예결위원장 자리를 누가 가져가느냐다. 앞서 20대 국회에서 두 상임위원장은 모두 통합당 몫이었다. 민주당은 문재인정부 집권 후반기 과제들을 책임 있게 추진하기 위해서는 이 두 자리를 가져와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통합당은 ‘슈퍼 여당’을 견제하기 위해 적어도 둘 중 하나는 반드시 받아내야 한다고 보고 있다. 특히 국회 본회의 상정 전 법안 통과의 ‘관문’ 역할을 하는 법사위원장은 꼭 사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6월 초 국회에 제출 예정인 3차 추경안도 새 원내대표들 앞에 놓여 있는 과제다.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재정의 적극적인 역할을 강조하는 민주당은 정부에는 과감한 추경 편성을 요구하면서도 야당과의 협상을 통해 신속하게 심사·처리하고자 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반해 통합당은 재원 마련 방안이나 구체적인 사업 계획을 면밀히 검토해 정부·여당을 견제할 방침이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출범 과정에서도 진통이 예상된다. 지난해 12월 통과된 공수처 설치법안은 공수처장은 후보추천위원회(총 7명) 위원 6명의 찬성으로 후보 2명을 추천하면 대통령이 그 중 한 명을 최종 임명하도록 했다. 즉 추천위 7명 중 야당 몫 2명 위원이 모두 반대하면 공수처장 임명 강행이 불가능한 구조다. 추천위 구성이나 추천권 행사 등 과정에서 야당이 ‘지연 작전’을 쓴다면 여당이 목표로 했던 7월 공수처 출범이 요원해질 수 있다.

여야 새 원내대표들이 20대 국회 마지막 본회의를 열고 ‘유종의 미’를 얻을 수 있을지도 관심사다. 현재 20대 국회에서 제출된 법안 중 1만5000여 건이 계류돼 있는 상황이다.


민주당은 8일 마지막 본회의를 열어 민생 법안을 하나라도 더 처리해야 한다는 방침이지만, 통합 당은 여기엔 헌법 개정안 처리 의도가 깔려 있다며 차기 원내지도부가 결정할 사안이라는 태도를 고수하고 있다. 8일 양당 원내대표 선출이 완료되면 문희상 국회의장이 원내대표 회동을 소집해 의사일정 합의를 독려할 가능성도 열려 있다.

양당 원내대표 경선 일자가 다가올수록 분위기는 더 달아오르고 있다. 민주당 원내대표 경선에 출마한 김태년 전해철 정성호 의원(기호순)은 연휴 기간에도 지방을 돌며 당선인을 만나고, 전화와 메시지를 돌리는 등 막판 지지 호소에 나섰다. 통합당에서도 김태흠 의원이 출마 선언을 하고, 주호영·이명수 의원이 공식 출마 선언 시기를 저울질하는 등 경쟁 구도가 구체화되고 있다.

신재희 기자 jsh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