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 5조원 이상 그룹의 지난해 순이익이 2018년에 비해 절반 수준으로 감소했다. 실적을 주도했던 반도체, 석유화학 등의 업황 부진에 다른 결과다.
공정거래위원회가 3일 공개한 ‘공시대상(자산 5조원이상)·상호출자제한(10조원이상) 기업집단 경영실적’에 따르면, 64개 공시대상 기업집단의 지난해 총 당기순이익과 평균 당기순이익은 1년 전보다 각 48%(92조5000억원→48조원), 50%(1조6000억원→8000억원) 감소했다.
자산 5조원 이상 공시대상 기업집단의 연도별순이익은 2015년 49조5000억원, 2016년 53조8000억원 ▲ 2017년 100조2000억원, 2018년 92조5000억원, 2019년 48조원 등을 기록했다.
반도체·석유화학에 주력하는 삼성(19조7000억원↓), 에스케이(14조7000억원↓), 엘지(3조5천억원↓)의 순이익 감소 규모가 컸다.
반면 현대차(3조8000억원↑), 두산(1조3000억원↑), 포스코(8000억원↑)의 경우 순이익이 오히려 늘었다. 두산 그룹의 이익 증가는 ㈜두산의 면세사업 부문 매각 등에 따른 것이고, 포스코의 경우 자산손상 차손이 줄어든 데다 사업설비 처분 이익이 발생했다.
삼성, SK이, LG 등 최상위 기업집단(그룹)들의 이익이 눈에 띄게 줄면서, 기업집단 간 경영실적 격차는 다소 좁혀졌다.
상위 5개 기업집단의 자산, 매출, 순이익은 전체 64개 기업집단의 52.6%, 55.7%, 68.5%를 차지했다.
이는 2019년과 2018년 지정된 기업집단들 사이에서 5대 그룹의 자산·매출·순이익 비중이 각 54%·57.1%·72.2%, 53.4%·56.7%·67.2%였던 것과 비교해 전반적으로 줄어든 것이다.
자산 규모 대비 경영 성과에서도, 단위당 매출은 자산기준 상위 집단(34개)에서 많았지만, 단위당 당기순이익의 경우 하위집단(30개)이 오히려 우위를 보였다.
정창욱 공정위 기업집단국장은 “5대 그룹 쏠림 현상이 완화됐지만, 일시적인지 추세인지 판단하기 어렵다”며 “다만 반도체나 석유화학 등 상위 집단의 주력 업종 불황의 영향이 컸기 때문에, 앞으로 업황에 따라 쏠림 상황이 달라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