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장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경영난이 찾아오자 장기 불황에 대비하기 위해 각종 사업에서 손을 떼고 있다.
롯데시네마는 5월 31일부로 VOD 서비스를 중단한다고 홈페이지에 공지했다. 2018년 7월 선보인 온라인동영상 서비스(OTT) ‘씨츄’(SEECHU)를 지난해 12월 ‘롯데시네마 VOD’로 개편했으나 5개월 만에 서비스 종료를 결정했다. 여러 영화 콘텐츠를 볼 수 있는 유료회원제 플랫폼이었지만 콘텐츠 수급에 막대한 비용이 들어가는 반면 수익성은 떨어져 내린 결정이다. 그 배경에 코로나19로 악화한 재정난이 지목됐다. 롯데시네마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인한 경기 불황 장기화에 대비해 일부 사업을 정리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내 최대 멀티플렉스 CGV도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았다. 사태 이후 영화 리뉴얼 공사를 전면 중단했고, 영업 실적이 부진한 곳은 폐쇄할 계획이다. 신규 개점은 꿈도 못 꾸는 상황이다. CGV는 경영난에 시달리다 최근 직영점 116개 임대인에게 6개월간 임대료를 유예해달라고 공문을 보냈다. 총 임차료는 월 170억~180억원에 달하는데, 지금 같은 상황에서는 감당할 수 없는 규모다. CGV는 경영이 정상화하면 12개월로 나눠 지급한다는 계획이다. 창사 이래 처음으로 1분기 대규모 영업적자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배급사 뉴(NEW)는 극장 체인 씨네Q를 물적분할해 신설법인으로 만들 예정이다. 뉴는 2017년 8월 1호점인 경주 보문점을 시작으로 극장 사업에 뛰어들었다. 행보는 적극적이었다. 최근 3년간 전국 각지에 지점이 생겼고, 현재 신도림·성신여대입구·충주연수·구미봉곡·전주영화의거리 등 총 6곳에서 상영 중이다. 하지만 최근 3년간 실적 부진에 코로나19 사태까지 맞물려 적자가 악화했고 지분 매각 가능성을 열어놨다. 물적분할을 거치면 적자가 나는 영화관을 매각하기 수월해진다는 분석이다. 다만 뉴 관계자는 “물적분할은 투자배급사업과 영화관 사업 각각의 전문성을 높이고 경영 기동성을 확보해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라며 매각설을 일축했다.
박민지 기자 p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