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대응을 위해 긴급사태 연장을 검토하기로 했다.
아베 총리는 1일 오후 관저에서 취재진과 만난 자리에서 “코로나19 대책을 조언하는 전문가그룹의 회의 내용을 보고받았다”면서 “코로나19 대응 담당상(장관)인 니시무라 야스토시 경제재생상에게 긴급사태 효력을 1개월 정도 연장하는 안을 중심으로 검토하라고 지시했다”고 말했다.
그는 “긴급사태 선언 이후 국민의 다대한 협력으로 다른 나라에서와 같은 폭발적 감염 확산을 피하는 등 일정한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했지만 의료현장은 여전히 엄중한 상황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견해”라면서 “오는 4일 기자회견을 열어 일본 국민들의 협력을 다시 요청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NHK 등 일본 언론은 오는 6일까지가 시한인 긴급사태를 일본 전역에서 일률적으로 한 달가량 연장하겠다는 방침을 분명히 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앞서 전문가그룹은 이날 회의에서 일본 내 감염자 수가 감소하는 추세이긴 하지만 지금 외출 자제 등을 완화할 경우 상황이 다시 악화될 우려가 있는 점을 들어 1개월가량 긴급사태를 유지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아베 총리는 지난달 7일 도쿄 등 7개 도도부현에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1차 긴급사태를 선포한 데 이어 지난달 16일 이를 전국으로 확대했다. 긴급사태 발효 상황에서는 광역단체장이 외출 자제와 각종 사업장의 휴업 등을 요청하거나 지시할 수 있다.
일본 전국의 47개 광역단체장은 감염자가 적게 발생하는 특정 지역에서만 긴급사태를 풀 경우 제한이 완화된 지역으로 인구 이동이 일어나 감염이 확산할 우려가 있다며 지역별 해제에 반대하고 있다.
일본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이날 도쿄 165명(오후 7시·NHK 집계 기준)을 포함해 전국 13개 지자체에서 229명이 새롭게 확인되는 등 지난달 26일부터 6일째 100~200명대에 머물고 있다. 긴급사태가 선포된 후인 지난달 중순에 하루에 500명 이상의 신규 확진자가 나오던 것에 비하면 증가세가 둔화했지만 계속해서 환자가 나오리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관측이다.
1일 열린 전문가 회의에서도 당분간 신규 감염자가 ‘제로’(0)가 되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에 1년 이상에 걸친 지속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지금까지 일본의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총 1만5246명이고, 사망자는 484명이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