므누신도, 경호국도 임명권자 트럼프 호텔에 숙박비 지불
“경호국 지출 확인된 것만 170건 이상, 62만달러”
미국 비밀경호국(Secret Service)이 재무부 장관을 경호하기 위해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소유한 호텔에 3만3000달러(약 4000만원) 이상을 지불했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3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P는 이런 식으로 비밀경호국에서 트럼프 대통령 숙박업소로 170건 이상의 대금 지급이 이뤄졌고, 금액은 총 62만달러(7억5000만원)라고 전했다.
WP에 따르면 비밀경호국은 2017년 워싱턴에 있는 트럼프 인터내셔널 호텔에 137일 연속 방을 빌렸다. 뉴욕 금융 전문가 출신인 스티븐 므누신 재무부 장관이 워싱턴에 집을 구하기 전 이 호텔의 스위트룸에 묵었는데, 비밀경호국이 그를 경호하기 위해 바로 옆 방을 빌린 것이다.
비밀경호국의 숙박비는 세금에서 나갔다. 호텔 측은 미 연방기관이 지불할 수 있는 최대 요금인 1박당 242달러를 적용해 총 3만3154달러를 청구했다.
WP는 “비밀경호국이 트럼프 대통령의 사업에 돈을 지불한 수십 건의 사례를 확인했다”며 “즉 납세자의 돈을 쓴 것인데, 당시에는 거의 또는 아예 공개되지 않았던 내용들”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번 사건은 트럼프 대통령의 최고 지명자 중 한 명인 므누신 장관이 관련돼 있어 다른 사례들과 다르다”고 강조했다. WP는 트럼프 대통령이 소유한 숙박 기업들이 비밀경호국을 상대로 돈벌이를 하고 있다는 내용을 여러차례 보도했었다.
미 재무부는 비밀경호국이 당시 므누신 장관의 옆방을 사용했다는 사실을 공식 확인했다. 재무부 대변인은 므누신 장관이 호텔에 얼마나 머물지 결정하는 과정에서 국민들의 세금을 고려했는지에 대해 “장관은 비밀경호국이 지불한 비용에 대해 알지 못했다”고 말했다.
백악관은 논평을 거부했다. 비밀경호국도 “우리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활용하는 수단과 방법에 대해 논하지 않겠다”며 언급을 피했다고 WP는 전했다.
WP는 “비밀경호국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회사로 흘러간 170건 이상 대금 지급건을 확인했으며 총 62만달러 이상”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이 본인 소유의 부동산을 돌아다니는 동안 비밀경호국이 동행하면서 객실을 빌리는 경우가 많았다는 것이다. 2017년 지급 금액도 이미 알려진 상태였지만 비밀경호국은 왜 그 돈을 썼는지에 대해선 함구해왔다. 그러다 WP의 공공기록 요청에 호텔 청구서를 공개했다고 WP는 밝혔다.
므누신 장관이 묶었던 객실은 2000평방피트(약 50평) 규모의 프랭클린 스위트였다. 대리석 욕실과 6인용 식탁이 있고 환경보호청 건물이 한눈에 들어오는 곳이다. 최근 코로나19 사태로 호텔이 거의 비어있었는데도 이 객실에는 하룻밤에 8300달러(약 1000만원)를 내고 묶는 사람이 있었다고 WP는 전했다. 비밀경호국은 스위트룸 바로 옆 방인 531호에 머물며 므누신 장관의 세탁물과 소포, 그를 찾아온 방문자 등을 감시했다고 한다.
비밀경호국 업무에 정통한 인사에 따르면 경호국이 업무상 호텔에 묵는 것 자체는 특별한 일은 아니다. 과거 클린턴 행정부 시절 로버트 루빈 재무부 장관은 백악관 인근의 제퍼슨 호텔에서 수년간 살았고 비밀경호국이 바로 옆방을 사용했다.
그러나 WP는 “과거 사례와 다른 차이점은 므누신 장관과 비밀경호국 모두 므누신 장관을 임명한 대통령이 소유한 호텔에 비용을 지불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