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의원들은 30일 새벽 국회 본회의에서 2차 추경안을 통과시킨 후 기부 의사를 공개적으로 밝혔다. 송영길 의원은 페이스북에 “저와 우리 가족들은 모두 기부하기로 했다”며 “여유있는 분들이 더 어려운 분들을 위해 자발적인 기부운동으로 대한민국의 새로운 감동을!”이라고 적었다. 백혜련 의원도 페이스북에 “저와 우리 가족은 당연히 신청하지 않을 것”이라며 “우리가 생각하는 이상으로 더 많은 기부가 이루어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썼다.
민주당은 의원들의 재난지원금 개별 기부와 별도로 당 차원의 기부도 준비 중이다. 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소속 의원 91명이 두 달 치 세비의 30%를 반납한 것에 국회의원 임기 중 임금인상분 등을 합쳐 7억5000여만원을 모아놨다”며 “고위 공무원들이 급여 일부를 4개월간 반납하기로 한만큼 21대 국회에서도 두 달 더 세비 환원을 한다면 20억원 정도 기부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다만 민주당은 “지원금을 줬다 뺐느냐” “관제 기부” 등 여론을 의식해 당이 나서서 기부 캠페인을 벌이지는 않을 것으로 전해졌다.
문재인 대통령은 2차 추경안 통과와 관련, 특히 야당의 협조에 감사를 표했다. 문 대통령은 또 “지원금은 어려운 국민에겐 힘과 위안, 한편으로 내수진작해 경제 활력을 불어넣는 마중물 역할을 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정세균 국무총리도 추경안 통과에 대해 “정부 내, 당정 간, 여야 간, 국회와 정부 간 이견을 조정해 낸 소통과 협치의 대표적 사례로 기억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여권에선 문 대통령이 1호 기부자가 될 것이라는 전망도 하고 있다. 문 대통령을 시작으로 국민들이 기부에 동참하면서 ‘제2의 금모으기’ 같은 국민적인 에너지로 분출되기를 기대하는 분위기다. 민주당에서는 기부 의사를 밝힌 국민이 17~20%가량이라는 여론조사 등을 토대로 기부가 이어지고 부가가치세로 10% 정도 돌아오는 것을 고려하면 전체 재난지원금의 30% 정도가 환수될 것으로 예측했다.
하지만 통합당 일부 의원들은 여전히 자발적 기부에 비판 목소리를 냈다. 장제원 의원은 페이스북에 “기가 막힌 것은 줬다가 다시 돌려달라고 하는데 돌려주는 국민은 착한 국민인가”라고 썼다.
이날 새벽 본회의에서 2차 추경안은 재석 206인 중 찬성 185, 반대 6, 기권 15로 통과됐다. 반대표를 던진 의원 6명은 통합당 장 의원과 김무성 곽상도 신상진 이종구 정유섭 의원이다. 이들은 반대 이유로 정부의 재정건전성을 들었다. 장 의원은 “정부가 재정여력을 가져야 한다는 경제관료들 충정을 정권과 여야가 짓밟았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경제 위기에 포퓰리즘까지 더해지면 대한민국은 나락으로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했다.
김나래 김이현 기자 nar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