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위·서울문화재단, 60억 규모 “공연계 긴급 수혈”

입력 2020-04-29 20:42 수정 2020-04-29 21:01
공연장 대관료 지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제공


한국문화예술위원회(예술위)와 서울문화재단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으로 막심한 피해를 본 문화예술계를 위한 긴급 수혈에 나선다. 사태를 빠르게 진화하기 위해 수십억 규모의 직접적인 예산 투입이 이뤄질 예정이다.

예술위는 80%까지 지원받을 수 있었던 대관료 지원금을 올해만 90%까지 확대하겠다고 29일 밝혔다. 최근 예술단체들은 코로나19 여파로 예정됐던 공연이 어그러지면서 서울 대학로 기준 하루 평균 40만원 정도로 계산되는 대관료를 회수 못 해 큰 피해를 보았었다.

대관료 90%를 지원받으면 사실상 10%의 부가세만 예술단체가 부담하게 된다. 공연이 취소됐으나 대관료를 환불받지 못한 예술단체와 예술인 피해사례를 파악해 미환불 대관료까지 포함해 지원할 예정이다. 지원 한도도 ‘단체당 3000만원’에서 ‘작품당 3000만원’으로 확대했다. 지원 기준을 단체에서 작품으로 변경함에 따라 중소 공연단체뿐 아니라 대형 공연단체들에도 지원 혜택이 돌아가게 됐다. 지난해 28억원이었던 예산의 2배 수준인 60억원 규모로, 이는 문화예술진흥기금 운영을 변경해 마련할 계획이다.

또 코로나19로 심각한 재정난에 처한 공연예술계 상황을 고려해 최대한 신속하게 지원이 이뤄지게, 예술성 심사 절차를 생략해 최소 요건만 갖추면 대관료 지원을 받도록 한다. 예술위 관계자는 “요건을 갖춰 신청하면 1주일 이내 지원을 받을 수 있게 하고 선정률을 평소 75% 수준에서 95% 수준으로 높일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여러 작품을 하나의 지원신청서로 통일해 지원받고, 필수 제출 증빙서류도 최대 13종에서 5종으로 줄여 부담을 덜어주기로 했다.

원래 오는 7월 1회로 예정한 공연장 대관료 지원 공모도 앞당겨 진행한다. 1~2차 공모 신청을 다음달 19일 오후 6시까지 국가문화예술지원시스템(NCAS)을 통해 받는다. 지원 대상은 지난해 12월 1일부터 올해 4월 30일까지 국내 등록 공연장에서 선보인 공연작품이다.


서울문화재단 제공


서울문화재단도 총 60억원 규모의 예술계 지원책을 이날 발표했다. ‘코로나19 피해 예술인 긴급지원사업’에 당초 45억원을 투입할 계획이었지만, 추가 재원 15억4000만원을 투입해 지원 규모를 확대하기로 했다. 예산은 총 60억4000만원으로, 지원 건수는 총 500건에서 330건 늘어난 830건으로 확정됐다.

앞서 서울문화재단은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문화예술계를 위해 총 45억원의 예산을 편성했었다. 예술인(단체)·예술교육가·기획자 등 5개 부문에 걸쳐 최소 50만원부터 최대 2000만원까지 500여건을 긴급 지원하는 내용이 담겼다.

접수 마감일인 지난 20일 기준으로 총 4999건이 접수됐다. 당초 선정 규모인 500여건의 10배다. 가장 많은 신청이 들어온 부문은 ‘코로나19 피해 긴급 예술지원 공모(1770건)’이며 장르별로는 연극 527건(아동·청소년극 145건 포함), 음악 431건, 시각 281건으로 관객과 대면해 창작활동이 이뤄지는 예술 장르의 접수가 많았다.

추가재원 확보에 따라 기존 500건에서 330건이 늘어난 830건의 예술인(단체)이 긴급지원을 받게 됐다. 선정결과는 이날부터 서울문화재단 홈페이지를 통해 발표한다. 신청서 등을 제출받아 내달 11일부터 최대한 신속하게 지원금을 배부할 예정이다. 김종휘 서울문화재단 대표이사는 “당초 계획을 재조정하면서 더 많은 예술가에게 지원의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방법을 강구했다”며 “향후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해 재단은 각 사업 영역에서 예술생태계 고유기능이 유지되면서, 변화된 예술생태계에 적응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강경루 기자 r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