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의 확산으로 인해 보건 서비스에 차질이 생기면서 전 세계에서 700만명의 여성이 의도치 않은 임신을 할 것이라는 우려 섞인 전망이 나왔다.
유엔인구기금(UNFPA)은 국제보건기구 ‘미래건강’, 미국 존스홉킨스대학 연구팀, 호주 빅토리아대학 연구팀과 공동 연구를 진행한 결과 이같은 전망이 나왔다고 28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코로나19 감염자가 폭증하면서 의료시스템에 과부하가 걸리거나 많은 여성들이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두려움으로 임신 검사 시기를 미룰 것으로 UNFPA는 전망했다. 공급망 중단으로 피임약을 공급받지 못하는 것도 의도치 않은 임신이 급증하는 원인으로 지목됐다.
UNFPA는 “전 세계적 약 114개 저소득·중간소득 국가에서 4억5000만명이 피임약 등으로 피임을 하고 있다”면서 “보건 서비스가 6개월 중단된다면 약 4700만명의 사람이 피임약을 구할 수 없게 되고, 그 결과 700만명의 여성이 의도치 않은 임신을 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동제한 조치가 성폭력 사건을 증가시킨다는 지적도 나왔다. 시리아에서 UNFPA와 여성 계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이슬람자선협회(ICA) 관계자는 “통행금지 기간 동안 남편의 폭력에 시달리는 수많은 여성을 만났다. 이같은 사례가 증가한 것은 명확하다”면서 “피신할 만한 안전한 곳들이 폐쇄돼고 여성들은 집에 갇힌 셈”이라고 말했다.
UNFPA는 “이동제한 조치가 약 6개월 지속될 경우 3100만건의 성폭력 사건이 발생하게 된다”면서 “성폭력 건수는 3개월 마다 1500만건씩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임세정 기자 fish813@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