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이후 경제 대책의 최우선 과제로 ‘고용안정화’를 꼽았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29일 오전 ‘일자리 위기 극복을 위한 고용안정화 대책’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은 긴급재난생계지원금 등에 4662억원을 투자하기로 한 1차 경제대책에 이어 취약계층 중심의 신속한 지원, 근로자 고용유지를 최우선 과제로 담았다.
고용안정분야의 지원규모는 총 368억원에 달한다. 분야별로는 기업고용유지에 120억원, 소상공인 고용유지 및 촉진에 141억원, 공공부분 일자리 107억원 등이다.
이중 핵심과제인 ‘중소기업 고용안정 지원사업’은 기업·대전시가 고용유지 협약을 체결할 경우, 사업주가 부담하는 4대 보험료를 월 200만원 한도로 6개월 간 1200만원까지 지원하는 사업이다.
또 120억원을 투입해 경영안정자금 이차보전, 정책자금 지원횟수 한도 폐지 등 1000여개 기업에 ‘일자리 지키기 상생협약 체결’과 ‘고용안정 특별재정’을 일괄 지원한다.
시는 여기에 코로나19 확산으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대전형 고용유지 소상공인 지원사업’도 실시할 예정이다.
지원 대상은 고용원이 있고 전년대비 매출이 20%이상 감소한 소상공인이다. 공고일 이후 고용된 인력의 사회보험료 사용자 부담금 3개월분을 1인당 50만원 한도로 지원하며, 2만 명에 100억원을 투자한다.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은 소상공인을 위한 ‘소상공인 고용촉진 지원사업’도 진행된다.
매출감소가 큰 업체를 우선적으로 지원하며 지원금액은 신규채용 인건비 90%다. 월 120여만 원씩 3개월 간 최대 360여만원까지 지원된다.
시는 이밖에 정부 희망근로사업과 연계해 공공서비스·정보화·환경정화 사업 등 공공부문 직접일자리도 확대할 방침이다.
대상은 코로나19 실업자와 취업 취약계층으로, 시는 총 107억원을 투입해 2000여개의 일자리를 마련한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기존의 사업계획을 코로나19로 변화한 사회경제현상에 맞춰 수정하고 방향과 목표도 재설정하고 있다”며 “코로나19에 맞서 서로를 위하며 위기를 극복하는 공동체 활동은 앞으로 우리사회가 어떻게 발전할 수 있을지를 보여주는 지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제 위기 상황을 희망으로 예전의 모습으로 회복시켜야 한다”며 “끝까지 시민 여러분들의 적극적인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