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최근 하얼빈 지역에 퍼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은 기존과 확연히 다른 것으로 미국에서 유입됐다고 주장했다. 현재까지 가장 가능성이 높은 후베이성 우한 발원설을 뒤집으려는 시도로 분석된다.
29일 중국신문망과 글로벌타임스 등에 따르면 중국공정원 원사인 장쉐 하얼빈 의대 학장은 전날 헤이룽장성 정부 기자회견을 통해 현지 코로나19 환자의 게놈(genome·유전체) 서열 분석 결과를 공개했다.
하얼빈 당국은 역학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현지 집단감염이 지난달 19일 미국에서 귀국한 중국인 여성에게서 시작된 것으로 보고 있다. 그와 한 건물에 사는 이웃이 엘리베이터 등에서 바이러스에 노출됐을 가능성이 있고, 이후 병원 내 감염으로까지 이어지면서 지난 27일 기준 68명이 확진됐다는 것이다.
장 원사는 헤이룽장성 질병예방통제센터가 지난 15일 환자 21명의 게놈 서열 자료를 중국 질병예방통제센터로 보내 분석한 결과가 이러한 추측을 뒷받침한다고 했다. 장 원사는 “환자들의 게놈 서열은 99.99% 이상 같았다. 그중 18명은 완전 같았고, 나머지 3명은 뉴클레오티드 1∼2개가 달랐는데, 거의 무시할 수 있는 수준이었다”고 설명했다.
특히 그는 “21명의 유전체 정보를 분석한 결과 전염원이 하나이며, 외국에서 유입된 것으로 판단했다. 기존에 중국인들 사이에 확산한 바이러스와 해당 바이러스의 게놈 서열이 분명 다르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놓고 중국 내에서는 후베이성 우한이 발원지가 아닐 수 있다는 주장까지 나오고 있다. 양잔추 우한대학 의학부 바이러스학연구소 부소장은 글로벌타임스에 “이번 연구는 바이러스의 기원이 다양하고 전염력이 다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해석했다.
그는 그러면서 “후베이성 우한이 코로나19의 진원이라는 주장은 근거가 없음을 보여준다. 우한은 코로나19 환자를 처음 보고한 곳일 뿐”이라며 정치적 목적을 갖고 중국을 희생양으로 삼으려 하는 세력을 비판했다.
하지만 ‘전염원’으로 지목된 여성은 귀국 후 격리를 마친 뒤 가족들과 함께 식사를 하고 상하이에서 수술까지 받았지만, 다른 사람이 감염된 경우는 없는 상황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대해 장 원사는 “여성의 격리 기간이 끝날 때 여러 번 핵산 검사를 했지만 모두 음성이 나왔다. 하지만 2차례 혈청항체 검사(IgG)는 양성이었다. 항체가 이미 있다는 것”이라며 “바이러스가 한씨의 면역체계에 져서 다른 사람에게 감염시킬 가능성이 크게 줄었다”고 분석했다.
박장군 기자 genera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