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 전 공동총괄선거대책위원장이 28일 미래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으로 선임됐지만 김 내정자는 이를 수용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로써 김종인 비대위는 무산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통합당은 28일 서울 여의도 63컨벤션센터에서 전국위원회를 열고 ‘김종인 비대위’를 안건으로 상정해 최종 의결했다. 전국위원 639명중 330명이 참석해 과반이 넘는 동의를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통합당은 상임전국위를 열고 당헌·당규 부칙에 규정된 ‘8월 31일까지 전당대회 개최’ 내용을 수정하고 이어지는 전국위에서 김 전 선대위원장을 비대위원장으로 선임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상임전국위는 정원 45명 중 17명만 참석해 성원 미달로 개최되지 못했다. 8월 31일로 규정된 전당대회 부칙도 수정되지 못하고 유지됐다. 일단 김종인 비대위 임기는 4개월에 그치게 된 셈이다.
이후 김 내정자 측 최명길 전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김종인 대표는 오늘 통합당 전국위에서 이뤄진 결정을 비대위원장 추대로 생각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어 “8월 31까지 ‘관리형 비대위원장을 하느냐 마느냐’만 남은 상황인데 그건 안 한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내정자는 앞서 비대위원장직 제안을 받아들이면서 심재철 원내대표 겸 대표 권한대행에게 “2022년 3월 대선 1년 전인 내년 3월까지는 대선 승리의 준비를 마치고 떠나겠다”고 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