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7월 출범하는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의 영어 약칭이 ‘CIO’로 결정됐다. 행정안전부는 공수처의 영어 명칭을 반영한 형태로 예규인 ‘정부조직 영어 명칭에 관한 규칙’ 개정을 준비하고 있다.
28일 국민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행안부와 공수처 설립준비단은 공수처의 영어 명칭을 ‘Corruption Investigation Office For High-ranking Officials’로, 약칭을 CIO로 하기로 협의했다. 협의까지는 몇 차례의 의견 교환이 있었다. 준비단은 애초 공수처의 영어 명칭에 ‘미니스트리(Ministry)’를 쓸 수 있는지를 질의했었다. 미니스트리는 ‘부’와 ‘처’에 대응해 사용하는 영어명칭이다.
하지만 행안부는 공수처가 국무총리실 산하에 있는 법제처와 식품의약품안전처 등과 성격이 다른 점, 공수처가 행정부·입법부·사법부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 점 등을 들어 미니스트리라는 명칭이 합당하지 않다고 봤다. 준비단은 이에 ‘실’에 해당하는 ‘오피스(Office)’를 쓰자는 수정 의견을 냈고, 행안부도 검토 후 이 의견을 수용했다.
행안부는 이렇게 결정된 공수처의 영어 명칭을 정부조직 영어 명칭에 관한 규칙에 반영하는 개정 작업에 착수했다. 행안부는 공수처 출범 전 개정을 목표로 하고 있다. 공수처를 ‘CIO’로도 부르는 일은 거의 확정적이다. 행안부 관계자는 “준비단에서도 수용 의사를 재차 밝혔고, 특별한 일이 없는 한 협의가 마무리됐기 때문에 이 명칭이 사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준비단은 지난달 10일 설립 이후 공수처 출범에 필요한 예산을 준비하고 후속 법령 준비, 청사 마련 등의 종합적인 준비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21일에는 비공개로 2차 자문위원회를 열었다. 준비단은 향후 공수처장 인선에도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대한변호사협회는 지난 10일까지 회원들로부터 처장 후보 추천을 받아 검증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변협은 다음 달쯤 최대 4명의 후보를 선정한 뒤 추천위에 명단을 제출할 계획이다.
공수처 출범까지 변수로 지적되는 것들도 있다. 공수처장은 총 7명의 위원으로 구성된 ‘공수처장 추천위원회’에서 후보자를 선정해 대통령에게 추천하는 방식으로 선출되는데, 아직 추천위 운영에 필요한 국회 규칙 등이 마련되지 못한 상태다. 법안 자체가 헌법재판소의 심판대에 올라 있기도 하다. 미래통합당은 지난 2월 “공수처는 초헌법적 기관”이라며 헌법소원을 제기했다.
허경구 기자 nin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