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초 노동계 불참 선언으로 좌초 위기를 맞았던 광주형 일자리가 진통 끝에 돌파구를 찾았다. 광주형 일자리 등 노동 서비스 플랫폼 기능을 수행하는 ‘광주상생일자리재단’ 설립 방안이다.
일자리재단에는 노동계도 흔쾌히 동참할 것으로 예상돼 광주형 일자리 첫 모델인 광주글로벌모터스(GGM) 완성차 공장 건립공사 정상화에 청신호가 커졌다.
광주시는 28일 “이용섭 광주시장과 지난 2일 상생발전협약 탈퇴를 선언한 한국노총 광주본부 윤종해 의장이 전날 비공개 면담에서 노사 상생 실무를 전담할 재단설립에 원칙적으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노동계 탈퇴 선언 이후 GGM 주요 주주들이 노동계 참여가 없으면 광주형 일자리 투자 철회를 강행할 수 있다고 시한을 통보한 29일을 이틀 앞둔 시점이다.
이에 따라 광주형 일자리를 전제로 한 GGM은 향후 금융권 3454억원의 차입금 확보와 국가균형발전법에 따른 정부차원의 근로자 복지혜택도 순조롭게 이끌어낼 수 있게 될 공산이 커졌다.
한국노총 등 노동계는 당초 지난 2일 “광주시가 GGM 설립과정에서 노동계 의견을 묵살한 채 독선과 비밀협상을 일삼았다”며 광주형 일자리 사업 불참을 선언했다.
이들은 “시가 그동안 노사민정협의회를 일방적으로 운영하고 상생발전협약도 제대로 지키지 않았다”고 협약 탈퇴 배경을 밝혔다.
하지만 한국노총 윤 의장 등은 이 시장이 광주형 일자리를 살리기 위해 고심 끝에 제안한 광주상생일자리재단 설립 취지에 깊게 공감한다는 입장이다.
윤 의장은 한국노총 광주본부를 방문한 이 시장과 전격적으로 가진 면담에서 재단의 조직구성 등에 대한 개괄적 대화까지 나눈 것으로 확인됐다.
이 시장은 면담 직후 “시가 제안한 재단설립 방안에 대해 윤 의장이 대부분 동의했다”며 “한국노총이 지역본부 차원의 내부논의 절차를 거쳐 재단설립을 통한 노동계 복귀를 신중히 결정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 시장과 윤 의장의 회동에는 박남언 광주시일자리경제실장과 한국노총 광주본부 최정열 수석부의장, 박상복 부의장, 문홍근 지도위원 등이 참석했다.
재단설립이라는 묘수찾기에 따라 노동계의 불참 선언으로 한때 교착상태에 빠졌던 광주형 일자리와 GGM 공장 설립은 향후 순조로운 진행이 예상된다.
시가 제안한 일자리재단은 광주형 일자리를 비롯한 광주시 노동정책 전반의 구심점 역할을 맡는다. 노동 관련 단체·시설 등이 효율적으로 운영되도록 정책적으로 예산과 인력을 지원하는 일종의 노동 서비스 플랫폼 기능을 하게 된다.
일자리와 노동 분야 별도의 재단법인 설립을 통해 전국 최초의 노사상생 광주형 일자리 실현과 GGM의 성공적 조업을 제도적으로 보장하자는 취지다.
시는 노동 전문가 등이 다수 참여하게 될 재단설립 절차에 금명간 착수할 방침이다.
추진단장은 노동계 추천을 받아 무임금 비상임 직위로 임명하고 실무를 책임질 사무국장은 4급(서기관) 공무원 중에서 공모할 방침이다. 추진단은 재단설립준비팀, 상생지원팀 등 2개 팀으로 구성된다.
시는 각계각층의 의견수렴을 거쳐 일자리 전문기관으로 탄생할 재단의 법적 지위와 구체적 역할 등을 확정하고 가급적 이른 시일 내에 중앙정부의 승인을 받아 재단 설립을 마치기로 했다.
재단설립에 공감한 노동계의 광주형 일자리 복귀가 가시화되면서 GGM의 자동차 생산계획은 차질 없이 이뤄질 전망이다.
GGM은 올해 말 1000여명의 광주형 일자리(생산직)을 직접 고용해 내년 9월부터 현대차가 생산을 맡길 경형 유틸리티 10만대 양산체제를 구축할 예정이다.
이용섭 광주시장은 “신설 일자리재단은 노동계의 뜻을 최대한 반영하게 될 것”이라며 “노동계가 빠진 광주형 일자리는 단 한번도 생각해 본 적이 없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