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연철 통일부 장관이 28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신변이상설과 관련해 “특이동향이 없음을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이날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김 위원장의 신변이상설과 관련해 ‘특이 동향은 없다’는 정부의 공식 입장을 거듭 강조했다.
그는 “김 위원장의 특이 동향이 없다고 자신 있게 얘기할 수 있을 정도로 정보 역량을 갖추고 있다”며 “북한 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 상황을 고려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 위원장이 집권 이후 처음으로 태양절 참배에 참석하지 않은 것은 사실이지만, 올해 김일성 생일과 관련한 경축연회, 중앙보고대회 등이 코로나 상황으로 취소됐다”며 “금수산기념궁전 참배계획 대상도 축소된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김 장관은 정부 설명에도 김 위원장 신변 관련 의문이 제기되는 이유를 묻는 말에 “인포데믹 현상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다. 매우 안타까운 현실”이라고 평가했다.
인포데믹은 인포메이션(information·정보)과 에피데믹(epidemic·전염병)을 합성한 용어로, 잘못된 정보나 악성 루머가 미디어 등을 통해 빠르게 확산하는 현상을 일컫는다.
‘김 위원장이 혈관 시술 후 원산에 칩거 요양 중’이라는 보도에 대해서도 “북한 사정을 아는 사람들이 봤을 땐 가짜뉴스라고 판단된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관련된 CNN 보도의 출처는 데일리엔케이 보도라고 알고 있다. 향산진료소에서 김만유병원 의사들이 시술했다는 보도였다”며 “이는 논리적으로 납득하기 어렵다”고 했다.
이어 “김 위원장이 향산에 갔다는 얘기를 들은 적이 없고, 향산진료소는 보건소와 같아서 수술이나 시술을 할 수 있는 시설이 아니다”라며 “김만유병원 의사들이 시술이든 수술에 참여했다는 것을 납득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최민우 기자 cmwoo1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