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세대(5G) 이동통신 기술과 인공지능 그리고 빅데이터가 탑재된 똑똑한 드론을 개발하는 사업이 본격 추진된다. 이런 드론은 고층건물의 안전도를 확인하고 광범위한 지역에서 실종자 수색 등 광범위한 용도로 활용될 예정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향후 5년간 480억원을 투자하는 ‘DNA+ 드론 기술개발사업’ 선정 평가결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주관 컨소시엄을 최종 선정했다고 28일 밝혔다. DNA는 데이터(D)와 5G 네트워크(N), 인공지능(A)의 줄임말이다. ETRI 컨소시엄은 공공연구기관과 카이스트 등 3개 대학, KT·LGU+, 드론제작사, 인공지능 전문 기업 등 19개 기업으로 구성돼 있다. 첨단 드론은 드론 조종자가 볼 수 없는 비가시권 지역을 자율 비행하며 데이터를 수집해 전송하고 인공지능을 통해 분석해 해법을 제공하는 개념이라고 과기부는 설명했다.
활용 분야는 크게 4가지로 예상된다. 먼저 실종자 수색과 순찰을 위한 ‘폴리스 드론’이다. 드론이 돌아다니며 사각지대를 줄인 고화질 영상 정보를 전송하면 실시간으로 인공지능 서버와 빅데이터 분석이 이뤄진다. 이렇게 도출된 정보는 지휘본부가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도록 돕게 된다. 국지 홍수 및 수질오염을 감시하는 ‘수자원 드론’이나 농장 등에서 정밀 방제와 생육관리에 활용되는 ‘스마트 팜드론’도 만들어질 예정이다.
고층 구조물이나 셀타워에 올라가 안전 등을 점검하는 ‘구조물 드론’도 주목된다. 드론이 고층 빌딩이나 대형 다리의 외부를 스캔하며 돌아다니며 구조물 결함을 찾아내고 구조물의 피로도를 평가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구조물의 고화질 영상 모니터링을 통해 20분 이내에 위험 상황 예측이 가능해진다는 설명이다.
과기부는 “5G 드론 데이터 시장은 아직까지 절대 강자나 성공사례가 없는 초기시장”이라며 “드론 데이터 활용시장 활성화는 드론제작 수요로 이어져 드론산업 간 부가가치가 확대 재생산 되는 생태계 조성을 견인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