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민 상당수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장기화에 대비하기 위한 상시방역 체제 전환에 동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시는 시민 68.8%가 방역대책의 방향을 방역당국 주도에서 ‘시민참여형 상시방역’으로 전환하는 시 정책에 동의하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28일 밝혔다.
시는 ㈜리서치코리아에 의뢰해 성·연령·지역별로 비례할당 후 무작위 추출된 대구시민 1008명을 대상으로 지난 17~21일 코로나19 관련 시의 대응과 방역수칙 등에 대한 시민 인식 조사를 시행했고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
앞서 대구시가 추진한 고강도 거리두기 운동인 ‘3·28 대구운동’이 코로나19 확산 방지에 도움이 됐는지에 대해서는 도움이 됐다는 응답이 87.7%, 도움이 되지 않았다는 응답이 10.1%로 나타나 시민 대부분이 거리두기 필요성을 인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시민 스스로 3·28 대구운동에 얼마나 적극적으로 참여했는지에 대한 질문에서도 대부분(90%)의 응답자가 적극적으로 참여했다고 답했다. 대구시의 코로나19 확산 방지 대응에 대해서는 잘하고 있다는 응답이 71.8%로 잘못하고 있다는 응답은 26.0%보다 높았다.
코로나19 확산 사태 안정화에 도움이 된 요인에 대해서는 의료진과 자원봉사자 등의 노력(10점 만점에 8.7점), 시민의 자발적 사회적 거리두기 동참(7.6점), 고위험집단 전수조사 등 코로나19 진단 강화(7.1점) 등이 꼽혔다.
시민 스스로 가장 자신 있게 실천할 수 있는 것으로는 ‘손씻기 등 개인위생수칙 준수’가 꼽혔다. 가장 실천하기 어려운 것은 ‘일정거리 두고 식사하기’였는데 실행 필요성은 높게 나타나 중요하지만 실행이 어려운 항목으로 꼽혔다.
현재 수준의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 운동을 앞으로 얼마나 오래 실천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1개월 정도가 35.9%로 가장 많았으며 1~2주 정도(25.6%)가 뒤를 이었다.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 운동을 10점, 코로나19 유행 이전의 사회활동 수준을 1점으로 했을 때 생활방역의 수준을 어느 정도로 생각하는지를 물어본 결과 7점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시민들은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 운동의 70%정도 강도의 생활방역이 적당하다고 보고 있는 것이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3·28 대구운동에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해준 덕분에 여기까지 올 수 있었다”며 “시민참여형 상시방역을 추진함에 있어서도 시민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겠다”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