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극복, 우리가 있소이다!’ 지자체장 결정적 순간들

입력 2020-04-28 10:45 수정 2020-04-28 11:45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의 변곡점마다 지방자치단체장들의 활약이 돋보였다. 집단감염 위기 때는 방역 대열의 제일 앞에 섰고, 코로나19 사태가 장기전으로 접어들었을 때는 ‘경기 활성화’와 ‘일상 방역’ 같은 새로운 방역 목표와 방식을 제안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과의 전쟁 일선에 선 지방자치단체장들.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양승조 충남도지사, 김경수 경남도지사, 권영진 대구시장, 이철우 경북도지사, 박원순 서울시장, 이재명 경기도지사.

양승조 충남도지사는 국내 코로나19 발병 초기인 지난 1월 30일 충남 아산에서 불거진 ‘임시 수용소 님비’를 솔선수범해 풀었다. 정부가 코로나19 진원지인 중국 우한의 교민 일부를 아산 경찰인재개발원에서 2주간 임시수용하겠다고 발표하자 주민들은 트랙터까지 끌고 나와 반대했다.

양 지사는 곧장 경찰인재개발원으로 내려가 “수용된 교민 단 한 명이 남았더라도 바로 여기서 동고동락하겠습니다”라고 설득해 주민 농성을 풀었다. 다음날 오전 9시, 교민들은 되레 아산 주민들의 환영 속에 경찰인재개발원에 도착할 수 있었다.

김경수 경남도지사가 불붙인 ‘재난기본소득’ 논의는 전국 재난지원금 지급의 도화선이 됐다. 김 지사는 지난달 8일 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코로나19로 위기에 빠진 경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전 국민에게 1인당 재난기본소득 100만원을 지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산업계를 중심으로 ‘방역을 넘어 경기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자 이를 구체화해 정부·국회에 정식 건의한 것이다. 이후 전북 전주를 시작으로 서울, 경기도 등 주요 지방자치단체들이 자체 재난지원금 지급에 돌입했고, 지난달 정부도 지급 계획을 구체화했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전국 코로나19 확산의 진원지 신천지와 전쟁을 치렀다. 지난 2월 18일 신천지 대구교회 신도 ‘31번 확진자’가 발견된 뒤 다음날 전국 수십명의 확진자가 쏟아지자 31번 확진자의 동선인 대구 남구 신천지 집회소에 대한 대대적인 전수조사에 돌입했다. 이어 지난 3월 대구·경북 확진자 폭증으로 치료 병상이 부족해졌을 땐 정부에 경·중증환자를 분리 치료를 건의해 관철했다.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지난 2월 확진자가 들렀던 신천지 과천시설을 강경 진압해 대구 신천지발(發) 대규모 추가 감염을 차단했다. 당시 신천지가 신도명단 등 방역에 필요한 자료를 정부에 넘기겠다면서도 계속해서 시간을 끌자 경기도가 강제 역학조사에 돌입한 것이다. 이 지사는 “대규모 감염을 막기 위한 골든타임을 놓칠 수 없다”며 신천지를 압박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서울 다중이용시설 확진자 발생 때마다 신속대응단을 파견해 수도권 집단감염을 막았다. 지난달 9~10일 서울에서만 70여명의 확진자가 쏟아져 수도권 최대 위기로 꼽힌 구로구 콜센터 집단감염 발생 즉시 신속대응단을 파견하고 현장 방역을 직접 점검했다. 수십명의 서울시·자치구 인력으로 이뤄진 신속대응단은 빠르고 체계적으로 최초 감염원 및 접촉자 발굴, 자가격리자 및 능동감시자 모니터링, 시설 내 감염병 관리대상자 검사를 마쳤다.

아울러 박 시장은 지난 3월 초 사회적 거리두기 운동을 공공기관 최초로 시행해 일찍부터 코로나19와의 싸움을 장기전으로 전환했다. 정부가 적극적으로 사회적 거리두기를 주도하는 지금과 달리 당시에는 일부 의료·시민단체만이 사회적 거리두기 도입이 필요하다고 촉구하는 상황이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지난 2월 청도 대남병원과 칠곡 중증 장애인시설 밀알사랑의집 등 도내 취약시설에서 확진자가 잇따르자 사회복지시설 전수조사에 돌입했다. 도내 사회복지시설 9112곳에 손소독제비치, 마스크 착용, 외부인 출입통제 등 지침을 내리고 일일 모니터링을 시행해 추가 피해를 최소화했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 전국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