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통합당이 28일 전국위원회를 열고 ‘김종인 비대위’ 추인 절차를 밟는다. 진통을 겪고 있는 ‘김종인 비대위’ 출범이 전국위 문턱을 넘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전국위보다 앞서 열리는 당선인 총회가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당 일각에서는 부결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통합당은 비상대책위원장 임명과 당헌 개정을 위한 전국위를 28일 개최한다고 27일 밝혔다. 전국위에서 과반 출석에 과반 찬성이 되면 김종인 전 총괄선거대책위원장이 비상대책위원장을 맡아 통합당을 이끌게 된다. 당일 오전엔 당선인 총회가 열려 지도체제를 놓고 격론이 펼쳐질 전망이다.
김종인 비대위 출범을 놓고 통합당에서는 막판 진통이 계속됐다. 특히 전국위와 당선인 총회 개최 순서를 놓고 첨예한 대립이 이어졌다. 이날 당초 통합당은 28일 전국위를 열고, 29일 당선인 총회를 열 계획이었다.
하지만 통합당 3선 의원들을 중심으로 당선인 총회를 먼저 열고, 이어 전국위를 개최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김종인 비대위에 21대 국회 당선인들의 의견을 제대로 수렴할 수 있는 자리가 먼저 마련돼야 한다는 것이다. 재선 및 4선 이상 중진 의원들도 같은 입장을 당 지도부에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대다수 의원의 반발에 결국 일정이 변경됐다.
일정 변경은 불가하다는 입장이었던 심재철 당대표 권한대행이 의원들의 거센 반발에 무릎을 꿇은 셈이다.
다만 김종인 비대위를 대신할 뾰족한 대안이 없어 전국위에서 추인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당 일각에서는 부결 전망도 나온다. 조경태 최고위원은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김종인 비대위 안건은 부결될 것 같다”며 “확률은 반반이지만, 이 비대위는 혼란을 가중시키는 측면이 있다”고 주장했다. 한 중진 의원도 “내부적으로 독선적인 김 전 위원장에 대한 비토가 만만치 않다”며 “거부감이 상당해 잠재우기 어려워 보인다”고 전했다.
소수이긴 하지만 전국위 정족수를 못 채우게 만들어 의결 자체를 무산시키자는 목소리도 나온다. 지난 2016년 20대 총선에서 참패한 새누리당(통합당 전신)은 ‘김용태 혁신위’ 출범을 시도했으나, 당시 친박계의 조직적 반발에 전국위 의결 정족수를 채우지 못해 무산됐다.
하태경 통합당 의원은 “오늘 3선 모임에서 요구한 당선인 총회를 전국위보다 먼저 하자는 요구가 수용됐기 때문에 더 이상 전국위를 연기하자는 주장은 근거를 잃었다”며 “당선인 총회와 전국위를 통해 김종인 비대위를 바로 출범시키는 게 당을 살리는 첩경”이라고 말했다.
이상헌 김이현 기자 kmpap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