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건강 이상 無?’ 동해북부선 53년만에 복원한다

입력 2020-04-27 16:02 수정 2020-04-27 17:07
(고성=연합뉴스) 27일 고성군 현내면 명파리 옛 동해북부선 배봉터널에서 김연철 통일부 장관,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 권구훈 북방경제협력위원회 위원장, 최문순 강원도지사가 철도사업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동해북부선은 강릉에서 제진역을 잇는 종단철도로 1967년 노선 폐지 후 현재까지 단절된 상태로 남아있었으며, 이날 열린 동해북부선 추진 기념식을 계기로 53년 만에 복원될 전망이다. 사진=공동취재단

동해북부선이 53년만에 복원된다. 남북 경제 협력의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동해북부선은 강릉에서 강원도 고성군 제진역을 잇는 종단 철도로 1967년 노선이 폐지된 후 현재까지 단절 상태였다.

4·27 판문점 선언 2주년을 계기로 동해북부선 강릉∼제진 구간이 53년 만에 복원되는 셈이다. 동해북부선은 지난 23일 열린 남북교류협력추진협의회 남북협력사업으로 인정됐다. ‘국가재정법’에 따라 24일 예비타당성조사도 면제됐다. 남강릉역에서 강릉역을 거쳐 제진역까지 110.9㎞를 잇는 구간으로 단선 전철로 건설될 전망이다. 예상 사업비는 2조8520억원이다.

국토교통부와 통일부는 27일 휴전선 아래 강원도 고성군 제진역에서 ‘동해북부선 추진 기념식’을 열었다. 김연철 국토부 장관은 기념사에서 “동해북부선 건설은 우리 경제에 활력을 불어 넣을 '한반도 뉴딜' 사업”이라며 “한반도 신경제 구상의 중심축 중 하나인 환동해 경제권이 완성돼 대륙과 해양을 잇는 동해안 시대를 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김현미 장관은 축사에서 “이 사업은 남북철도 협력을 준비하는 사업으로, 지역의 오랜 숙원사업인 만큼 현재 추진 중인 포항∼삼척 단선전철 등의 건설사업과 연계해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이라며 “올해 말까지 기본계획을 완료하고 내년 말 착공을 목표로 속도감 있게 추진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앞서 강원연구원은 이번 사업으로 생산 4조7426억원, 부가가치 1조9188억원, 고용 3만8910명 등의 유발 효과를 기대했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