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수원시는 지난 3월 수원시와 관내 경찰서·소방서가 함께 ‘긴급차량 우선 신호 시스템’을 시범 운영해 관내 10여 개 지점에서 아주대학교·가톨릭대학교성빈센트 병원까지 통행 시간을 측정한 결과 1㎞를 이동할 때 평균 통행 시간이 시스템을 운영하지 않았을 때보다 무려 56.32%나 단축됐다.
구체적으로는 긴급차량 우선 신호 시스템을 적용. 망포동에서 아주대학교병원까지 5.6㎞를 운행했을 때 9분8초 만에 도착했다. 시스템이 없었을 때는 21분이 걸렸다.
긴급차량 우선 신호 시스템이 응급환자 이송 시간을 절반 이하로 단축해 ‘골든타임’ 확보에 절대적으로 도움이 되는 것을 확인한 셈이다.
이에 수원시가 응급환자를 이송하는 구급차량이 교차로에 진입할 때 자동으로 녹색 신호를 부여하는 긴급차량 우선 신호 시스템을 구축하고 본격적으로 가동에 들어가기로 했다.
수원시는 전국 최초로 ‘센터 방식’으로 시내 전 구간에 ‘긴급차량 우선 신호 시스템을 구축했다고 27일 밝혔다.
센터 방식은 구급차량이 응급환자를 병원에 이송할 때 수원시도시안전통합센터에서 차량 위치를 GPS(위성항법장치)로 추적해 구급차량이 교차로에 진입할 때 자동으로 녹색 신호를 부여하는 방식이다.
시는 긴급차량 우선 신호 시스템 구축으로 구급차로 긴급환자를 이송하는 시간은 기존의 절반 이하로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며 수원시 어디에서나 아주대·가톨릭대성빈센트 병원에 10분 이내에 도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염태영 시장은 “긴급차량 우선 신호 시스템은 시민의 생명과 직결되는 시스템”이라며 “시스템 특성상 일시적 차량정체가 불가피한 만큼, 시민 여러분께서는 조금 불편하시더라도 적극적으로 협조해 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수원시와 수원남부경찰서, 수원남부소방서는 이날 수원시청 상황실에서 ‘응급환자 골든타임 확보를 위한 긴급차량 우선 신호 운영 협약’을 체결하고, 긴급차량 우선 신호 시스템이 원활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협력하기로 했다.
협약에 따라 수원시는 신호제어기·신호등 등 현장 설비와 센터 시스템을 운영·관리하고, 수원남부경찰서는 긴급차량 우선 신호를 운영할 때 소방서 구급차 이동 경로 주변 교통상황을 모니터링·분석한다. 수원남부소방서는 긴급차량 우선 신호를 활용해 긴급환자를 신속하게 이송한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