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에도 마스크?” 대구 폭염 대책 어떻게 하나

입력 2020-04-27 14:16
국민DB

대구의 폭염대책이 이전과는 달라져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 될 경우 방역과 폭염대책이 충돌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미리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27일 대구경북연구원 권용석 박사에 따르면 기상청 지정 울산과학기술원(UNIST) 폭염연구센터는 해외 여러 기관의 기후예측모델 결과에 기초해 올해 기온이 평년보다 높아 폭염 발생일수가 증가할 확률이 높다고 내다봤다. 특히 올해 폭염은 5월부터 이상 고온 형태로 발생해 시작 시점도 예년보다 빠를 것으로 예상된다.

대구경북연구원은 폭염으로 유명한 대구에 무더위가 일찍 찾아오면 코로나19 방역과 폭염대책이 시기적으로 겹쳐 상충·모순되는 부분이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지금까지 시행한 지역의 효과적인 폭염대책들 중 일부는 코로나19 방역을 기준으로 보면 밀접 접촉 또는 확산을 유발할 수 있는 위험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 대구경북연구원의 생각이다.

무더위쉼터, 물놀이장 등 한 장소에 다수의 이용자가 장기간 머물면서 폭염을 피하는 기존의 무더위 대피 시설은 집단감염의 온상이 될 수 있다. 폭염취약계층을 직접 방문해 폭염 극복용품을 제공하고 건강을 체크하는 일도 재난도우미 혹은 취약계층 주민의 감염으로 이어질 위엄이 있다. 작은 물 입자를 분사해 기온을 낮추고 청량감을 주는 시설인 쿨링포그가 감염자의 비말과 물 입자를 섞어 바이러스의 공기 중 생존시간을 연장시키거나 확산 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는지 조사해볼 필요도 있다.

이에 대구경북연구원은 올해 대구·경북 폭염대책 수립 시 코로나19 방역이라는 새로운 환경을 반드시 감안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개방된 실외장소나 실내체육관 등 환기가 잘되고 공간이 넓은 대형 무더위쉼터 확보, 그늘막 대신 개인 양산쓰기 일상화 운동 확대, 온열질환자 발생패턴을 고려한 추가 의료수요 대비, 초·중·고 학사일정 차질로 빚어진 불가피한 여름철 학교 수업기간 연장에 따른 냉방장치 관리, 폭염취약계층 대면 서비스 일원화, 쿨링포그 등 코로나19 확산 위험을 배제할 수 없는 대책에 대한 과학적인 검증, 냉방이 취약한 전통시장 등 지역 상권에 대한 대책 마련 등을 제안했다.

대구경북연구원 관계자는 “시설 개선 등 대책마련과 함께 실내에서 더위를 피하는 사람들이 스스로 안전하게 더위를 피할 수 있는 개인위생수칙 교육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