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이 사회적기업 제품을 구매한 실적은 액수 기준으로 6년 연속 늘었지만 증가 폭은 2015년 고점을 찍은 이후 계속해서 내림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공공기관 사회적기업 제품 구매실적’에 따르면 전년 대비 구매비율 증가 폭은 2015년 0.6%포인트에서 지난해 0.23%포인트로 감소했다.
사회적기업은 일자리 창출, 환경 보호, 장애인 복지 등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는 기업이다. 정부는 사회적기업육성법에 따라 공공기관이 사회적기업 제품을 우선 구매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지난해 공공기관 842곳은 사회적기업 제품 1조2829억원어치를 구매했다. 2018년보다 2234억원(21%)늘었다. 구매액만 놓고 보면 2013년부터 지난해까지 6년 연속 증가했다. 고용부는 공공기관의 사회적 가치 창출 의지가 확산되고, 수의계약 한도가 2000만원에서 5000만원까지 확대된 것이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했다.
그러나 공공기관 사회적 제품 구매비율 증가 폭은 수년째 내림세다. 2015년 공공기관의 총 물품 구매액 중 사회적기업 제품 구매비율은 1.55%로 전년 대비 0.6% 늘었다. 이후 2016년과 2017년에는 구매비율 증가 폭이 각각 0.25%포인트, 0.24%포인트 떨어졌다. 2018년과 지난해에는 0.23%포인트로 더 내려갔다.
공공기관 유형별 불균형도 여전하다. 지난해 지방자치단체의 사회적기업 제품 구매 비율은 6.18%를 기록했지만 국가기관(0.86%)·특별법인(0.39%)·기타 공공기관(0.91%) 등은 1%에도 미치지 못했다. 교육청과 지방공기업 구매비율도 평균(2.5%)을 밑돌았다. 고용부 관계자는 “구매비율 증가 폭이 소폭 줄어든 건 사실이지만, 큰 차이를 보이진 않았다”고 말했다.
세종=최재필 기자 jp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