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동해북부선 복원으로 남북경협 재시동

입력 2020-04-27 13:26

정부가 4·27 판문점선언 2주년을 맞아 남북철도 연결 사업에 다시 시동을 걸었다. 철도 연결 사업은 판문점선언 합의 사항이었지만, 지난해 2월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 결렬 이후 남북관계가 얼어붙으면서 사실상 중단된 상태다. 정부는 코로나19 방역협력과 북한 개별관광, 산림 복원 사업 등 다른 남북 협력 사업에도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

통일부와 국토교통부는 27일 남측 최북단 철도역인 강원도 고성군 제진역에서 동해북부선 추진 기념식을 개최했다. 판문점선언 2주년과 동해북부선 사업을 함께 기념하기 위해서다. 방역 조치를 철저히 한 가운데 김연철 통일부 장관과 김현미 국토부 장관, 최문순 강원도지사 등이 참석했다.

김연철 장관은 기념사에서 “동해북부선 건설은 그 과정 자체가 우리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 새로운 ‘한반도 뉴딜’ 사업”이라며 “다시 남북 간에 철길을 따라 사람과 물류가 자유롭게 오가는 날을 꿈꾸면서 정부는 남북관계의 공간을 넓혀 나가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김현미 장관은 “동해북부선 연결은 철도를 통한 새로운 평화의 출발점이자 한반도 신경제구상과 동북아 철도 공동체 구상을 현실화하는 마중물이 될 것이라 확신한다”며 “국토부는 올해 말까지 기본계획 수립을 마치고 설계를 완료한 후 내년 말 착공을 목표로 추진할 것을 약속드린다”고 밝혔다.

동해북부선은 일제강점기였던 1929년 개통해 분단 이전까지 금강산 관광객을 실어 나르는 데 주로 쓰였다. 6·25전쟁 이후 고성역과 초구역 사이에 군사분계선이 그어지면서 폐지됐다. 동해북부선 명칭 자체는 1953년 정전 이후에도 한동안 쓰였지만, 1967년 양양역~속초역 구간이 폐지되면서 사라졌다.

정부가 새로 추진하는 동해북부선 사업은 남강릉역에서 제진역까지 총 110.9㎞ 구간에 단선 전철을 짓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총 사업비는 2조8520억원으로 추산되며 향후 적정성 검토와 기본계획 수립을 통해 종합적으로 사업 규모를 확정할 계획이다. 통일부는 지난 23일 남북교류협력추진협의회에서 동해북부선 사업을 남북 협력 사업으로 인정해 예비타당성 조사를 면제토록 했다.

조성은 기자, 제진역=공동취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