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망자 수가 공식 통계보다 60% 더 많을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코로나19에 직격탄을 맞은 14개국의 사망자 통계를 분석했을 때, 60% 더 많은 코로나19 사망자가 나왔을 것이라고 2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공식 통계에 따르면 14개국의 공식 코로나19 사망자는 총 7만7000명이다.
FT는 각국의 코로나19의 공식 사망자 통계인 20만1000명(26일 현지시간)보다 60% 더 많은 31만8000명이 사망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지난 3~4월 14개국에서 코로나19로 사망한 사람을 포함해 모든 사인의 사망자 수와 2015년과 2019년 동기간 사망자 평균치와 비교한 결과 각국의 평년 사망자 수준보다 약 50%(12만2000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로 비교하면 벨기에는 평년보다 60% 스페인 51%, 네덜란드 42%, 프랑스 34%로 사망자 수가 증가했다.
이탈리아 베르가모 시는 평년보다 사망자 수가 464% 증가했다. 뉴욕시 200%, 스페인 마드리드는 161% 증가했다.
이탈리아 롬바르디아 주의 경우 약 1700개 지자체의 전체 사망자 통계를 비교할 경우 평년보다 155% 증가했다. 이는 롬바르디아주에서 코로나19로 사망한 4348명보다 숨겨진 사망자가 더 있을 것이라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에콰도르의 과야스 주는 3월 1일부터 4월 15일까지 코로나19로 사망한 사람은 245명에 불과하다. 하지만 전체 사망자 수는 평년보다 350% 증가한 1만200명에 달했다. 정확한 사인은 알 수 없지만, 코로나19로 사망했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고 FT는 전했다.
영국 잉글랜드와 웨일스 주의 사망자 수도 76% 증가했다. 케임브리지대 데이비드 스피겔홀터 교수는 영국의 코로나19 사망자 집계가 병원에서만 이뤄지고 있다면서 “영국의 코로나19 사망자 수는 너무 적다(far too low)”고 말했다.
코로나19의 정확한 치사율을 파악하는 것은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대응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다만 각국의 공식 통계가 불분명해 코로나19의 실체를 파악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이 문제라고 FT는 전했다. 그러면서 코로나19 통계의 부정확성은 중국에 국한된 것만은 아니라고 썼다.
미국 존스홉킨스대학의 코로나19 집계결과, 27일 오전 10시 기준 확진자는 총 297만705명, 사망자는 20만6495명이다.
한명오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