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체 검사로 생활방역 전환 판단 어려워… 추가 검토해야”

입력 2020-04-25 14:26
(세종=연합뉴스) 김주형 기자 = 윤태호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방역총괄반장(보건복지부 공공보건정책관)

항체검사로 집단면역 형성을 판단하기에는 제한적이라는 정부 입장이 나왔다. 생활 방역 전환 결정의 근거로 항체검사를 삼을 수 있다는 의견에 대한 답이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2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정례브리핑에서 “항체검사가 생활방역으로 전환하는 결정적 지표인지는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하다”며 “현재는 신규 확진자 추세, 방역망 관리 비율, 어떤 현상의 객관적 위험도 평가가 생활방역으로 전환하기 위한 유효한 지표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전날 31개 분야에 대한 생활 속 거리두기 집단방역 세부지침 초안을 발표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무작위 표본 검사나 항체검사 등으로 집단면역이 형성됐는지 측정한 후 생활방역을 해야 한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에 윤 총괄반장은 코로나19 항체 형성이 면역 형성과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있고 무작위 표본 검사를 하려면 시간도 많이 걸린다며 부정적 입장을 내놨다. 게다가 항체형성률은 해당 지역에 확진자가 얼마나 많고 또 얼마나 적극적으로 검사하느냐에 따라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다고 윤 총괄반장은 지적했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