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공항 항공기 격납시설 코로나19 지원방안 누락

입력 2020-04-24 18:30 수정 2020-04-24 19:05
지난 3월 12일 오후 서울 강서구 김포국제공항 국제선 청사가 썰렁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날 김포국제공항 국제선 출도착은 0편이었다 연합뉴스

국토교통부가 지난달 18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피해와 관련, 항공업계 추가 지원방안을 발표하면서 김포공항 서울김포비지니스센터(SGBAC) 정비격납고를 제외해 업계에서 고용유지를 위한 지원을 호소하고 나섰다.

24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김포공항 SGBAC 내 정비격납고의 경우 연간 임대료가 10억원에 달하는 상황에서 코로나19로 자가용 항공기들의 활동이 크게 줄어듦에 따라 운영 및 고용유지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나 항공기 정비 격납고는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임대료 감면 대상에서 제외해 말썽이다.

임차기관인 한국공항공사는 정부의 정책에 SGBAC 정비격납고가 포함돼 있지 않아서 임대료 감면조치 시행이 곤란하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한국공항공사로부터 입찰 임대해 영업중인 김포공항 항공기 격납시설을 코로나19 관련 피해 지원정책의 임대료 감면 대상에 포함해 지원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SGBAC는 코로나19 이전에는 자가용 항공기 6대가 격납고를 활용해 외국 국가 및 국내에서 일반 비지니스 항공기 등을 운항할 때 정부 주요 인사 등의 방문을 지원하는 등 외국 국왕과 고위 외교사절단 등의 국내 입국 및 비지니스 활동을 지원해왔다.

실제로 코로나19로 인한 외국 자가용 항공시 운항편수는 지난해 월 40편 수준에서 올 1, 2월은 30편 수준으로 다소 줄어든뒤 지난 3월은 5편으로 크게 줄었다.

업계관계자는 “코로나19 발생 이후 외국 자가용 항공기 운항이 급감해 매출 발생이 없는 상황에서 최소한의 지상조업 장비와 운항지원 전문인력을 유지하기위해서는 임대료 감면 조치가 절실한 상황”이라며 “전문인력 고용유지와 선진 격납시설을 유지해야 유사시 대응 체제 마련이 가능하다”고 호소했다.

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