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무상으로 배포 중인 ‘아베노마스크’가 결국 회수된다. 곰팡이가 끼거나 머리카락이 나오는 등 불량 논란이 끊이지 않자 납품업체가 미배포 물량을 전부 거둬들이기로 한 것이다.
24일 교도통신과 NHK 등에 따르면 마스크를 납품한 4개 업체 중 2곳인 고와(興和), 이토추(伊藤忠)상사가 전날 이런 방침을 발표하면서 검품을 평소보다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고와는 의약품을 생산하는 대기업이고, 이토추상사는 대형 종합무역업체다. 이들 업체가 정부에 납품한 천 마스크는 모두 미얀마 등 해외 공장에서 생산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앞서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지난 1일 품귀 현상을 완화하기 위해 재사용할 수 있는 천마스크를 가구당 2장씩 무상 배부하겠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크기가 작아 귀에 통증을 유발한다는 불만에 더해 두 회사가 임산부용으로 납품한 마스크 50만장에서 불량품이 대거 발견되며 결국 배포가 중단됐다. 지난 17일 전국에 배포되기 시작한 천마스크에서도 벌레, 곰팡이 등 이물질이 나왔다.
납품사들의 회수 결정에 일본 내 여론은 들끓고 있다. SNS상에는 “쓸데없는 세금과 노력 낭비로 보인다” “위생상태에 문제가 있는 거면 바이러스 부착 우려도 있는 게 아니냐”며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세금을 낭비한 정부와 업체 모두 책임 떠넘기기가 될 것 같다”는 반응도 나왔다.
일본 정부가 무상으로 배포 중인 아베노마스크가 곰팡이 등 불량 논란에 휩싸인 가운데 구매 가격이 애초 예산보다 4배가량 싼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책정한 예산보다 현저히 낮은 가격이라는 사실이 확인되면서 정확한 사용 내역을 공개하라는 일본 내 비판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편 일본 정부는 아베노마스크를 애초 책정한 338억 엔보다 현저히 낮은 가격인 90억9000만 엔에 납품계약한 것으로 드러나 정확한 예산 사용 내역을 공개하라는 비판도 이어지고 있다. 일본 후생노동성은 지난 21일 야당의 요청에 천마스크 수주 업체 3곳과 각각의 계약금액을 밝힌 바 있다. 나머지 업체 1곳은 공개되지 않았다.
박장군 기자 general@kmib.co.kr